전산학 개론 - 1주차

강모민·2024년 3월 5일
0

전산학개론

목록 보기
1/2

1.1 컴퓨터와 스마트폰, 그리고 디지털 전환

스마트폰은 역사상 가장 성공한 기계임

요즘은 사물인터넷(IOT) 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산업혁명과 정보 혁명의 시대

1차 산업 혁명 (증기기관)

산업 혁명은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 혁신, 새로운 제조 공정으로의 전환과 이로인해 일어난 사회, 경제 등의 큰 변화

증기기관 기반으로 가내 수공업이 줄고 기계의 설치로 출퇴근의 개념이 만들어지기도 함

2차 산업 혁명

  •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중후반까지의 시기로 석유와 전기 에너지 기반의 대량 생산 혁명
  • 1차 산업 혁명이 석탄 기반의 증기기관이라면 2차는 석탄과 석유를 함께 사용
  • 토머스 에디슨(직류), 니콜라 테슬라(교류)와 같은 과학자들이 전기의 과학적 이용을 이룩해 냈다

3차 산업 혁명

  • 컴퓨터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일어난 정보 혁명
  • 정보 혁명이라고도 부름.

4차 산업혁명

  • 201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진행중인 변화
  • 2016년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언급됨
  • 4차를 3차의 연장선으로 보고 4차 산업 혁명이 아니란 반론도 있음.
  • 핵심은 인공지능, 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기술 등 기존의 산업, 서비스에 여러 신 기술을 적용하여 지능화 시키는 것

사실상 인공지능을 여서 사물, 서비스에 적용시키는 것을 지칭하는 말.

매 혁명마다 혁명의 주기가 빨라지고 범위가 늘어난다.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디지털 전환이란?

기존의 산업 기반을 이루고 있던 기업 조직,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돈버는 법), 문화, 시스템 등 모든 것이 데이터 기반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변화되는 현상

기존의 사업을 데이터 기반 기술(컴퓨터나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등) 로 전환하는 것.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디지털화보다 더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와서 디지털 대전환 이라고도 한다.

사진을 이미지로 변환하거나 노래를 mp3 파일로 변환하는 등 기존의 자료를 디지털 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디지털화(digitalization)라고 함.

디지털화 쉽게 외우기

digit => 2진수 그럼 digitalization은? 2진수화.
컴은 2진수 쓰니까 2진수로 변환해서 저장한다는 의미


정확힌 숫자로 변환해서 저장한다. 라고 함

디지털 화의 예시

  • 블록버스터와 넷플릭스.

    블록버스터는 과거의 DVD 대여점 중 탑 1이었으나 디지털 대전환 시기에 대응하지 못하여 OTT 서비스(DVD 대여방의 온라인 버전) 넷플릭스에게 밀렸다.



1.2 인공지능과 컴퓨터가 인간의 창의성을 넘보다

원래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을 매우 회의적인 시각으로 바라봤으나 토론토 대학의 교수가 딥러닝(Deep Learning) 이라는 방식을 개발한 후로 폭팔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인공지능의 출현으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다

  • 인공지능이 컴퓨터 과학의 큰 전환점이 되는 기술이 될 것이다.
  • 인류에게 위험이 될 수 있을 정도로 성장 중이다.
    인공지능 개발 가이드라인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인공지능은 우리가 자주사용하는 용어이긴 하다. 하지만 아직도 명확한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지능의 정의 자체가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만 인공지능에 대한 통일된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론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려는 과학 기술로 정의 내린다.

교수님: IQ 테스트 쓸대 없는데 왜 함? 의사들도 의미 없다 카던데

쌉소리

위키 백과사전의 인공지능 정의는 인간이나 동물이 가지는 자연적 지능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기계에 의해 발휘되는 지능이라 카는데,, 이 "자연적 지능" 의 기준은 모르겠다..
자연히 배우는게 자연적 지능이라면 누가 가르쳐 주는 모든게 자연적 지능 아닌가? 그럼 딥 러닝 기술을 활용한 AI 또한 자연적 지능을 지닌게 아닌가?

알파고,, 인공지능의 인식을 뒤집다.

알파고 전까지의 인공지능은 악수를 한다거나 간단한 질문에 겨우 대답하는 수준이라 생각함.

하지만 알파고가 등장하여 이세돌 선수와의 대결에서 4 대 1로 승리하며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심지어 이세돌 선수가 이긴 한 판은 알파고가 학습한 데이터에 없는 엉뚱한 수를 둠으로써 알파고가 버그(?)라면 버그인 그런 수를 두게 만들었다(의도한건 아니었던 것 같은데 기억 안남)

다만 이 때까지는 주관적인 기준으로 바라보는 예술의 영역은 인공지능이 할 수 없을거라 생각함

왜 알파고를 예시로 들었나?

바둑은 10의 360승 가지의 수를 고려해야하는데 이 부분을 인공지능이 계산하고 최적의 수를 두는 등 상상도 못한 일을 행하여서 예시로 듦

응 예술도 가능해

예 뭐,,, 주관적이라지만 그래봐야 다들 보는 눈 비슷하죠?

장원영 이쁘다는거 누가 모릅니까...

보편적으로 사람들이 좋아하고 잘 만들었다, 잘 그렸다 하는 것들을 학습해서 결국 인공지능이 그림도 그릴 수 있게 됨.

그나마 다행인 점이라면 애가 말귀를 급네 못알아 들어서

실제로 이전에 있던 그림 대회에서 AI가 그린 그림으로 1등 상을 탄 사람도 있었음.

(AI 이미지를 출력할려면 프롬프트(원하는 구도, 느낌 등을 키워드로 설명)를 입력 해야하는데 이걸 잘하는게 쉽지 않아서 인정해야한다고 생각함.)

모든 기술은 전쟁으로 부터

현재 진행중인 러우 전쟁에서도 드론이 상당히 많이 사용중이다.
이유는 싸고 작동하기 쉽고 간단한 AI로 조종이나 사용 자체가 간단하기 때문이다.

미국엔 군사용 인공위성이 사진을 분석하여 해당 기체의 모델까지 알아내는 AI도 있음.

그리고 성욕으로 부터

예 뭐,,, 그 랜덤채팅 이런거에서 AI한테 컨셉질 가르쳐서 여자처럼 채팅치게 해서 여자가 많은 소개 어플 이런 느낌으로 속이기도 한답니다.

딥페이크 이런 것도 AI 를 사용하는데 가장 많이 활용되는 곳이
불법적인 영역이라고 알고 있고 이번에 AI AV배우? 도 데뷔한다는,,,

1.3 이제는 똑똑한 자동차가 운전하는 시대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기술로 움직이는 자동차

  • 자동차의 시작은 1886년 카롤 벤츠가 만든 삼륜 가솔린 자동차 모터바겐으로 볼 수 있다.

  • 1997년 일본 츠쿠바 기계공학 연구소는 미리 표시해둔 흰 선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계된 자율 주행 자동차를 세계 최초로 제작했다.

컴퓨터가 운전하는 자동차는 더 졸은 세상을 만들까?

각 자동차끼리 연결을 통해 경로와 우선순위를 최적화 하는 등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까?

다만 신기술의 등장은 언제나 직업을 없애고 만들기 마련이다. 이득이라 생각할 수도 손해다 생각할 수도 있는 영역인 것 같음.

컴퓨터 과학이 다루는 다양한 영역들

컴퓨터 과학과 연관된 학문들

보통 자신의 전공만 공부하기 마련이다. 그래도 상관 없으니까.
하지만 컴공은 다르다. 거의 모든 과가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등 매우 깊은 연관관계를 맺고있다.

특히 생물정보학은 질병 판단부터 매우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전산언어학도 매우 연관관계가 깊다. 가장 쉬운 예시론 번역 기능이 있다.

삼성에서 출시한 버즈나 최신 휴대폰은 통화시 실시간 번역 기능도 지원하는데 이 것도 전산언어학과 관련이 있다.

컴퓨터 과학의 영역은 점점 더 확장되고 있으며 융합되고 있다.

많은 서비스들이 디지털화를 진행하면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컴퓨터 과학을 사용하고 더 나아가 융합까지 한다.

교수님: 여러분의 관심사를 넓혀봐라.


요약
1. 오늘날의 컴퓨터는 단순한 계산을 넘어 인류 문명을 지탱하는 큰 기둥에 비유할 수 있다.

  1. 정보 혁명은 컴퓨터를 컴퓨터를 통해 이용하여 인간은 빠르고 많은 정보 처리가 가능해지면서 시작된 큰 사회 변화를 말한다.
    컴퓨터를 통해 인간이 기존에 다루기 힘들었던 데이터를 다루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많은 정보를 생성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 4차 산업 혁명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기술과 같은 지능 정보 기줄이 기존의 산업과 서비스에 결합되거나 여러 분야의 신기술에 결합되어 모든 사물을 지능화 함으로써 촉발되는 사회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3. 디지털 전환이란 기존의 산업 기반을 이루고 있는 기업 조직,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 문화, 시스템 등 모든 것이 데이터 기반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변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4. 인공지능 기술은 더 이상 일부 공장이나 대학교 연구실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아니라 일상적인 생활의 기술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profile
spring을 메인으로 express, go언어로 개발하는 백엔드 강모민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