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6

김나윤·2024년 11월 18일
0

Spring

목록 보기
8/9

6. AWS 서버 환경 만들기 -AWS EC2

드디어 말로만 들어봤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서버 배포를 진행해보았다.

외부에서 본인이 만든 서비스에 접근하려면 24시간 작동하는 서버가 필수이다.
이때, 24시간 작동하는 서버에는 3가지 선택지가 있는데.

  • 집에 PC를 24시간 구동시킨다.
  • 호스팅 서비스(Cafe 24, 코리아호스팅 등)을 이용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AWS, AZURE, GCP 등)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호스팅 서비스나 집 PC를 이용하는 것이 비용이 저렴하지만, 특정 시간에만 트래픽이 몰린다면(전반적으로 일정한 트래픽이 유지된다는 가정하) 유동적으로 사양을 늘릴 수 있는 클라우드가 유리하다.

이 책에서는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중 AWS를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첫 가입 시 1년가나 대부분 서비스가 무료이다. (단, 서비스마다 제한 존재)
  •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능(모니터링, 로그관리, 백업, 복구, 클러스터링 등등)이 많아 개인이나 소규모일 때 개발에 좀 더 집중 가능
  • 국내에서는 AWS 점유율이 압도적
  • 사용자가 많아 국내 자료와 커뮤니티 활성화

1) AWS 회원가입

AWS 가입을 위해서는 Master Card or Visa Card가 필요하다.

AWS 공식 사이트(https://aws.amazon.com/ko/)로 이동하나 뒤, 무료 계정 만들기를 선택한다.


2)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3) EC2 서버에 접속하기


4) 아마존 리눅스 1 서버 생성 시 꼭 해야 할 설정들

profile
Hello, worl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