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헷갈리는 문제
(참고)
- 퀴즐렛 https://quizlet.com/kr/988282317/ncp-207-flash-cards/
- https://brunch.co.kr/@topasvga/3503
(기타 궁금한 내용은 구글링 및 ChatGPT..)
스냅샷 이미지를 이용해서 신규 생성한 볼륨을 현재 사용중인 서버에 Attach한 후 서버를 리부팅하였으나, 정상적으로 리부팅이 되지 않는다. 어떤 이슈를 의심할 수 있는가?
A) 해당 스냅샷 이미지는 sysprep작업이 적용되지 않는 이미지 일 것이다.
B) 스냅샷 이미지를 이용해 생성한 볼륨을 서버에 마운트 후 리부팅을 했었어야 한다.
C) 스냅샷 이미지를 이용해 생성한 볼륨이 다른 서버의 부팅 볼륨일 것이며, uuid중복으로 정상부팅되지 않는 것이다.
D) 스냅샷 이미지를 이용해서 신규 볼륨 생성 시 선택한 볼륨 타입이 현재 사용중인 서버에 Attach 할 수 없는 볼륨이다.
동일한 Subnet에 생상한 서버와 Cloud DB for MySQL을 연동해야 한다.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TCP/3306 포트를 통해 접근해야 하지만 통신이 되고 있지 않다. 다음 중 정상 통신을 위해 해야하는 설정은?
A) Cloud DB for MySQL의 ACG에 접근소스를 서버IP로 하여 3306 포트 허용 정책을 추가한다.
B) 서버의 ACG에 접근 소스를 데이터베이스 도메인으로 하여 3306 포트 허용 정책을 추가한다.
C) 두 개체가 포함된 Subnet에 매핑된 NACL에 접근 소스를 Subnet대역으로 하여 3306포트 혀용 정책을 추가한다.
D)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 방화벽을 해제한다.
그림과 같이 PS명령어 실행 시 STAT 필드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이미지 :
http://naver.me/FU9A033k
A) R : running or runnable
B) Z : defunct("zomble") process
C) W : paging
D) S : Stopped, either by a job control signal or because it is being traced
=> S: Interruptible Sleep (waiting for an event to complete)
리눅스에서 현재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가 아닌 것은?
A) top
=> 어떤 파일이 CPU 100% 사용하는지 확인
B) meminfo
C) sar
=> 리소스 사용량에 대한 로그 조회 / cpu, mem, iowait, load 정보 확인
D) free
SAR로 물리적 디스크에서 발생한 I/O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무엇인가?
A) sar -a
B) sar -b
=> report I/O
C) sar -c
D) sar -f
=> sar -A: 모든 것을 볼 때 / sar -n: network / sar -w: contact switching(프로세스가 몇 초 걸렸는지) / sar -W: 통계
여러명의 사람들이 공통의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인프라 환경을 이용하고 있다. 누군가 실수로 운영중인 서버를 반납하였다. 다음과 같은 사태를 막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A) 중요 서버들은 서버 관리 및 설정 환경에서 반납보호를 설정한다.
B) 실수한 사람을 문책한다
C) 서버 이르에 반납 금지를 표기한다.
D) Resource Manager에서 중요 서버를 설정한다.
다수의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공인 IP로 접속하면 잘 보이지만 L7헬스체크가 적용된 LB로 접속하면 접속이 되지 않고 LB에서 보면 서버 연결상태가 실패로 나온다.
원인으로 추정할만한 것은 무엇인가? (설정 내용은 이미지 참고)
*이미지 :
http://naver.me/FU9A0rVm
A) ACG
B) Index.html
C) DNS
D) virtualhost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를 모두 고르시오.
A) netstat -i
(cf) netstat: 네트워크 커넥션 수 확인
B) ifconfig
C) netconfig
D) network
리눅스에서 "su root" 명령어와 "su -root"명령어의 차이점에 대해 올바른 설명은?
A) 차이없음
B) su -명령어는 root 계정의 환경변수를 그대로 가져오지만, su root는 기존 계정의 환경변수를 사용한다
C) su 명령어는 sudo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만 실행 가능하다
D) su명령어로 계정을 변경하게 되면 exit 시 로그아웃하게 된다.
windows 환경하에서 다음의 ping 명령어의 옵션을 어떤의미인가?
ping -n -5 -I 2 www.naver.com
A) 5byte를 2초마다 전송
B) 2초의 간격으로 5번 전송
C) TTL값을 2로하여 5번 전송
D) 5byte를 2번 전송
Linux => -c , Windows => -n / Windows에서 -I는 TTL 의미
프로세스가 오픈한 파일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A) ps
B) psof
C) top
D) lsof
lsof: 현재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는 파일 리스트 출력
Windows 클라이언트에서 DNS캐시된 정보를 삭제하고자 할 떄 사용하는 명령어는?
A) mdc flush
B) ndc flush
C) ipconfig / flushdns
D) netsh flushdns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Classic 환경에 존재하는 서버의 10.x.x.x 사설 IP대역 NIC에 두 개 이상의 IP를 부여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A) 기존 IP로는 통신이 되나 추가된 IP로 통신이 되지 않는다.
B) 추가된 IP뿐만 아니라 기존 IP도 통신이 되지 않는다.
C) 서버가 강제 정지된다.
D) 기존 IP는 통신이 안되고 추가된 IP로만 통신이 된다.
Windows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 할 수 있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A) route -arn
B) route
C) route print
D) netstat
IPSEC VPN으로 연결된 Server A에서 Server T로 접속이 안되고 있다. VPN설정은 정상이라면 Server A의 어떤 설정이 문제일지 Server A의 라우팅 테이블을 보고 유추하시오.
*이미지 :
http://naver.me/5atc6q3w
A) Desstination 설정이 잘못되었다. Destination 0.0.0.0/0의 Gateway를 192.168.100.1로 변경하여야 한다.
B) Gateway 설정이 잘못되었다. 192.168.100.0의 Gateway를 192.168.1.1로 변경하여야 한다.
C) 인터페이스 설정이 잘못되었다. 192.168.100.0/24에 대해서는 eth0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D) Genmask가 잘못되었다. 192.168.100.0에 대해 0.0.0.0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리눅스에서 시스템 로그인 기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A) dmesg
B) lastlogin
C) last
D) source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Load Balancer의 헬스체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A) 헬스체크 주기는 Classic 환경에서는 6초 간격이며, VPC환경에서는 디폴트 30초이다.
B) 5번 응답이 없는 경우 unbind한다
C) Unbind됐던 서버가 헬스체크 응답이 3번 성공하면 Bind된다.
D) VPC환경에서는 헬스체크 주기를 Target Group에서 변경할 수 있다.
CPU, Memory, DISK I/O 사용량 등 시스템 전반에 걸친 시스템 성능지표를 수집, 레포트하고 저장하는 명령어는?
A) nmap
B) vmstat
C) sar
D) iostat
Linux서버에서 iptables로 정책이 설정되어 있다. 설정된 정책을 삭제하기 위한 적절한 명령어는?
A) iptables -A
B) iptables -F
C) iptables -G
D) iptables -W
iptables -L : 리눅스에서 iptable 정책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