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gmentation

yalpalyappap·2021년 1월 11일
0

운영체제

목록 보기
8/20

위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address space를 구성할 때 실제 물리적 메모리에는 free space가 있기 때문에 base and bound 방법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만큼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Segmentaion: Generalize Base and Boun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egmentation이라는 방법이 나왔다.
이 개념은 쉽게 말해 CPU에만 한 쌍으로 존재하는 base and bound register를 address apce의 논리적인 segment마다 갖고 있는것을 말한다.
segment란 address space에서의 연속적인 부분을 뜻하는데 우리는 이 부분들이 code, stack, heap의 3개의 논리적 segment를 알고 있다.

각각의 segment를 물리적 메모리의 서로 다른 부분에 독립적으로(independently)배치하여 사용되지 않는 virtual address space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 물리적 메모리의 서로 다른 영역에 어떤 한 프로세스의 stack, code, heap segment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또 다른 프로세스의 stack, code, heap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not in use space에 위치한다면 사용되지 않는 virtual address space가 생기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각 segment마다 base and bound register가 존재하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된다.

Which segment Are We Referring to?

transition시에 하드웨어는 segment register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segment의 시작위치와, address를 아는 것일까?

explicit approach라 불리는 방법인데, virtual address의 상위 몇 비트를 기반으로 address space를 segment로 분할하는 기법이다.

우리는 stack, heap, code의 3가지 segment가 있기 때문에 2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만약 14비트의 virtual address에서 2비트를 segment로 잡으면 virtual address는 다음과 같아진다.

그래서 만약 상위 2개의 비트가 00이면 code영역으로 생각하고, 01이면 heap영역으로 생각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된다.

따라서 상위 2개의 비트는 segment를 판별하는데 사용하고, 하위 12개의 bit는 offset으로 사용한다. base register에 offset을 더함으로써 실제 물리적 메모리에서의 위치를 알 수 있다. (base register에 virtual address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자!)

하지만 2개의 비트를 사용하는 경우 00, 01, 10, 11을 사용할 수 있는데 우리는 3개만 사용하므로 1개의 segment 낭비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러한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 code영역을 heap에 합쳐서 1개의 비트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segment를 지정하는데 상위 여러개의 비트를 사용하는 경우 virtual address space의 사용을 제한된다는 점이다. 특히 우리의 예제에서는 segment크기가 4KB로 고정되어있는데 만약 16KB의 address space의 경우 4조각으로 쪼개진다는 의미이며, stack, heap영역의 크기가 이보다 커져야 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하드웨어에서 segment를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이 있다.
implicit approach라고하는 방법이고, 하드웨어는 address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파악해서 segment를 결정한다.

What about Stack?

stack은 16.2의 그림에서 28KB에 위치해있고, 더 작은 주소값으로 즉 0KB 방향으로 크기가 증가한다. 28KB -> 16KB -> 14KB....로 변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base and bound register외에도 어떤 방향으로 segment가 증가하는지를 알기위한 하드웨가 필요하다. 예를들어 비트가 1로 설정되어있으면 positive방향으로 0이라면 negative방향으로 segment가 증가한다.

예를들어 virtual address 15KB 실제로는 physical address 27KB에 접근하려한다. 2진수로는 11 1100 0000 0000(hex 0x3C00)이다. 하드웨어는 상위 2개 비트를 사용하여 segment를 결정한다. 따라서 남은 offset은 3KB이다. 올바른 negative offset을 얻기위해서 3KB에서 최대 offset의 크기인 4KB를 빼야한다. base register인 28KB에서 negative offset인 -1KB를 더해서 물리적 메모리인 27KB를 알 수 있다. bound check는 negative offset의 절대값이 segment의 현재 크기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확인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2KB).

Support for Sharing

메모리를 절약하기 위해서 특정한 메모리 segment를 공유하는것이 효과적임을 알게되었다. 특히 code sharing은 여전히 유용하다.

sharing을 위해서 protection bits의 형태로 하드웨어의 도움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이 segment를 읽거나 쓸 수 있는지 또는 segment내에 있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segment당 몇개의 비트를 추가한다. code segment를 읽기전용으로 설정하므로써 multi-process에서 독립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코드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전히 프로세스들은 자신만의 private 메모리를 소유하고있다고 생각한다.
protection bit를 사용하면 virtual address가 bound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것 말고도 특정 엑세스가 허용 가능한지를 확인해야 한다(읽기전용이면 공유될 수 있으므로). 또한 읽기전용 segment에 write를 하려고하거나, read-execute가 불가능한 segment에서 execute하려고 하는 경우 예외를 발생시켜야 한다.

Fine-grained vs Coarse-grained Segmentation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시스템에서 고작 몇개의 segment(code, stack, heap)만을 알아보았다. 이런 비교적 거대한 segment들을 I'm coarse-grained segmentation이라고 부른다.
반면에 초기의 시스템에는 flexible함이 필요했기 때문에 크기가 더 작고 개수가 더 많은 fine-grained segmentation이 필요했다.

많은 segment들이 더 많은 하드웨어의 지원과 메모리에 저장된 segment table이 필요하게 되었다. segment table을 활용함으로써 시스템은 좀 더 flexible한 방식으로 많은 개수의 segment를 만들어서 활용할 수 있게되었다.

OS Support

이제 segmentation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알게되었다. 하지만 segmentation은 OS에게 몇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1. context switch시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
    이를 위해서 각각의 프로세스가 가지고 있는 virtual address의 base and bound register를 저장했다가 프로세스 재시작 전에 다시 불러와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 segment의 크기가 커지거나, 줄어들 때 OS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예를들어 현재 heap segment의 크기만으로 malloc()을 감당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할당을하면 되지만 이 크기를 넘어서는 새로운 메모리를 할당해야할 경우에는 sbrk()라는 시스템 콜을 해서 heap segment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그래서 변화된 크기만큼을 다시 register에 등록하고 메모리 할당을 성공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물리적인 메모리 자체가 모자르다면 OS는 메모리할당을 거부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히자.
  3. 물리적 메모리의 free space를 어떻게 관리 할 것인가?
    일반적으로 프로세스마다 segment가 생길 것이고 이 크기는 제각각일 것이다. 따라서 물리적 메모리의 중간 중간에는 free space의 구멍이 뻥뻥 뚫려있을 것이고 이는 새로운 segment의 할당을 어렵게 만들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external-fragmentation라고 부른다.
    따라서 segment들을 재조정하여 물리적 메모리를 compact하게 사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segment들을 재조정하는 방식은 매우 무거운 작업이다. 예를들어 재조정이 끝난 이후에 중간에 있는 프로세스의 heap segment가 증가되야 한다면 또 다시 추가적인 재조정이 일어나야만 한다.
    따라서 좀 더 간단한 방법은 할당에 필요한 큰 메모리 공간을 유지하려는 free-list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알고리즘을 통해서 external-fragmentation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external-fragmentation을 없앨 수는 없고 최소화 할 뿐이다.

출처 : OSTEP

profile
안녕하세요! 개발 공부를 하고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