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래밍 기초 in Python
불 대수
일반적인 수학의 값 : 숫자
출처 : 코드잇
불 대수의 값 : 진리값
출처 : 코드잇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한다.
숫자에도 연산이 있듯이, 불 대수도 특별한 연산들이 있다.
출처 : 코드잇
명제란?
예 )
출처 : 코드잇
우선 처음으로 AND 연산의 대해 배우겠다.
출처 : 코드잇
x와 y 둘 다 참이면, 참이고 만약 하나라도 거짓이 있으면 명제는 거짓인 것이다.
예시 )
대한민국 수도는 서울이다. AND 2는 1보다 크다
둘 다 맞는 말이기때문에 참(TRUE)이다
================================================
대한민국 수도는 부산이다. AND 2는 1보다 크다
대한민국 수도는 서울이기때문에, 참과 거짓은 거짓(FALSE) 명제가 결과로나온다.
다음으로...
출처 : 코드잇
x와 y 둘 다 참이면 참 그리고 둘 다 거짓이면 거짓이다.
그리고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되기때문에, 참이 명제된다.
예시 )
대한민국 수도는 제주도이다. OR 대한민국 수도는 서울이다.
순서대로, 거짓과 참이 명제되기때문에...
-> 참(TRUE)
================================================
대한민국 수도는 제주도이다. OR 대한민국 수도는 부산이다.
순서대로, 거짓과 거짓이 명제되기때문에....
-> 거짓(FALSE)
마자막으로...
NOT연산은 반대로 뒤집어주는 역할을한다.
예시 )
NOT 대한민국 수도는 서울이다.
위에 있는 문장은 사실이기때문에, 반대인 거짓이 명제된다. => TRUE
NOT 2는 1보다 작다.
위에 있는 문장을 거짓이기때문에, 반대인 참이 명제된다. => FALSE
불린형
만약에...
따옴표로 감싸주면, 이 것들은 불린이아니고 문자열인 것이다.
Python에서 보는 AND 연산자
결과값 :
OR 연산자
결과값 :
NOT 연산자
결과값 :
간단한 숫자 명제들
결과값 :
문자열의 명제
결과갑 :
문자열과 숫자형을 응용하면...
결과갑 :
조금 어려운 예시 )
결과값 :
더 어려운 예시 )
결과값 :
사칙연산에서 배웠듯이 괄호안에 있는 명제들을 먼저 계산하고, 그리고 그 결과값을 바깥에 있는 명제와 비교해본다
4는 3보다 작다 -> False
12는 10보다 크다 -> True
False and True => False
그리고 7은 7과 같다 -> True
그리하여 True or False => True
변수를 이용해서 명제 계산하기
결과값 :
괄호안에 있는 명제들부터 계산해서, x는 3이니까
3은 2보다 작다 -> False
3은 3과 같다 -> True
False or True => True
그리고
3은 4보다 크다 -> False
not True -> False
False or False => False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