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Fault 처리 루틴 CPU 가 논리적 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변환시키기 위해 페이지 테이블을 참조했지만 invalid bit 가 설정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행동하게 된다. CPU 가 페이지 테이블을 참조한다. 하지만 invalid bit 이 설정되어 있다.
반효경 교수님 운영체제 강의와 도서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주소 바인딩 CPU 는 소스 코드를 읽어낼 때 physical address 가 아닌 virtual address 를 읽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메모리를 접근해야 한다면 physical address 가 필
반효경 교수님 운영체제 강의와 도서를 정리한 내용입니다.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며 block 된 상태이때의 자원은 IO 디바이스, CPU, 메모리, 세마포어 등이 될 수 있다.데드락은 4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성립된다.mutual exclusion
문제링크DP dpi : 주어진 단어 s1 에 대하여 i까지, 주어진 단어 s2 에 대하여 j 까지 탐색했을 때의 최장 공통 부분 길이계산의 편의를 위해 i=0 과 j=0 일 때의 값은 0으로 한다.표를 채워나가며 규칙을 찾도록 한다.따라서 점화식은 if(s1\[i] =
문제 링크dynamic programming 중에서도 0-1 knapsack problem를 생각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0-1 knapsack problem 를 푸는 방법은 아이템 정렬할 필요 없이 순서대로 아이템을 넣을지 말지를 생각해주면 된다.dp\[0] = 1 이
두 개의 프로세스가 하나의 자원에 대해 동시에 접근하는 상태예시1. kernel 수행 중 인터럽트 발생kernel 모드가 실행중인데 인터럽트가 들어왔다. (예를 들면, 타이머 인터럽트) 인터럽트 또한 OS가 주도권을 갖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kernel mode이며
KOCW 반효경 교수님 운영체제 강의와 도서를 정리한 내용입니다.CPU 버스트 시간은 사용자 프로그램이 CPU를 직접 이용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시간을 의미한다.x축이 CPU 버스트 시간이고 y축이 빈도인 그래프를 살펴보면, 왼쪽은 CPU 버스트 시간이 짧은 작업 (입
KOCW 반효경 교수님 운영체제 강의와 도서를 정리한 내용입니다.메모리 주소 영역은 크게 code, data, stack 세 가지로 구분된다.코드 영역은 기계어 instruction이 보관되는 공간이다.데이터 영역에는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 예를 들면 전역 변수
문제테이블 정의dpi : i-1일까지 벌 수 있는 돈의 최댓값. i일의 0시 정도로 생각만약 3일까지 일해서 돈을 받는다면 4일에 받는다.dp4 = 3점화식i일이 되는 순간 할 수 있는건 두가지이다.(원래 있던 값이 더 크다면 갱신을 하면 안되기 때문에 max를 써줘야
KOCW 반효경 교수님 운영체제 강의와 운영체제와 정보기술의 원리 도서를 정리한 내용입니다컴퓨터는 내부장치와 외부장치로 나뉘며, CPU와 메모리부터 시작해 IO 디바이스를 살펴볼 수 있다.내부장치인 메모리는 휘발성이며, CPU가 실행할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
문제 상황 리액트 컴포넌트가 Redis를 이용하여 중복 요청을 방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Redis 연결 설정 먼저 Redi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edis를 연결해야 합니다. Spring Boot에서는 Jedis나 Lettuce를 사용하여 Redis를 연결
Ks(Ks(m)) = m수신자와 발신자가 같은 key (Ks) 를 갖는다. 즉 복호화, 암호화에 쓰이는 key 가 같다.하지만 둘다 같은 key를 갖게 하기 위한 절차를 거치지 않는 이상 같은 것을 공유하고 있기 힘든 문제점이 있고 key 를 뺏기면 모든 정보가 노출되
참고중요한건 왜 dp인지 이해하는 것dpw : 가방의 최대 무게가 w이고 k 번째 보석을 담을 때 갖을 수 있는 가치 최댓값(그림 오타 dp3 -> dp3)예를 들어, 최대 무게가 6kg 이고 k번째 보석을 담은 상태라고 하자. 다음 보석을 담을 때의 점화식을 세워보자
바킹독 알고리즘 강의를 보며 정리한 내용입니다.Greedy = 지금 가장 최적인 답을 근시안적으로 택하는 알고리즘 = 관찰을 통해 탐색 범위를 줄이는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 풀 때 주의사항그리디 알고리즘이 맞다는 확신이 있을때만 풀도록 한다.거의 똑같은 문제를 풀
코딩테스트에 가끔 나오다보니 맨날 까먹게 되는 map 함수 정리 시작entrySet() : Entry<K, V> 를 반환keySet() : Set 를 반환values() : Collection 를 반환key 기준 정렬key array를 따로 만들어서 key를 정렬
백준 2597유형 : dpdp인건 알겠는데 점화식을 세우는게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닌 듯 하다.풀이 1. 2차 배열로 현재까지 연속으로 밟은 계단 저장하기문제의 조건에서 3번 연속으로 밟으면 안된다는 조건 때문에 현재까지 몇개를 연속으로 밟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