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회고

가연·2023년 7월 30일
1

이번에 두번째로 진행한 프로젝트가 끝났다. 부스와 발표를 준비하며 느낀점을 KPT방식으로 회고해보려고 한다.

회고

Keep

  • 이번에 처음으로 프론트엔드끼리 협업을 했는데, 조금 후에 시작했지만 Pr 보내고 서로 연락한 것이 좋았다. 사실 연락하지 않고 슬랙에 깃허브 알림 연동을 하지 않았던 때에 소통 문제로 충돌났어서 해결하기 굉장히 힘들었다. (새로 클론해서 파일을 옮겼다.. 초반에 충돌나서 그나마 다행이었다.)

  • 개발이 늦어져서 전부 테스트 해보지는 못했지만 포스트맨의 목서버를 이용해서 어느정도 테스트를 해볼 수 있었다.

  • 커밋 메시지나 이슈 내용 등의 컨벤션을 정한게 좋았다.

  • 매일 데일리 스크럼을 통해 다른 팀원들의 상황을 알 수 있는게 좋았다.

  • 깃허브와 슬랙을 연결하여 머지하거나 커밋하는 것 등을 하면 알림이 나오는게 좋았다.

Problem

  • 중간에 폴더명을 바꿨더니 풀 받았을 때 해당 폴더가 그대로 남아있어서 폴더 구조가 지저분해졌다. 커밋하기 전에 폴더명을 확실하게 하고 가는게 좋을 것 같다.
  • 통신 연결을 데브 하루 전에 해서 시간이 굉장히 부족했다.
    통신하는데 생각보다 에러가 많이 나왔고, API 문서와 다른 부분이 꽤 있었다.
  • 400번대 에러는 무조건 프론트 문제고, 500번대 에러는 무조건 백엔드 문제라고 생각해서 에러 해결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 403 에러는 api 경로나 이름을 잘못 입력했을때 나올 가능성이 높다.
  • 급하게 개발하느라 이슈를 제때 작성하지 못했다.

Try

  • 추가로 pr 내용에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기존 문서가 수정됐을 경우, 상대방이 맡은 부분 수정한 경우 등) 을 커밋 내용 뿐만 아니라 직접 명시 해 주거나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라이브러리도 넣어주면 좋을 것 같다.

  • 통신을 적어도 3일 전부터 들어가거나 json 형태의 데이터를 직접 넣어 테스트 하는게 아닌 목서버나 다른 테스트 방법을 이용해서 테스팅 해보는 게 좋을 것 같다.

  • 백엔드가 API 문서를 완성했을때 대충 읽어보지 말고 좀 더 자세히 읽어서 어떻게 통신할 지 미리 생각해보고, 이름 같은 것도 잘 통일 돼있는지 확인해보자. 그리고 경도 위도같은 정보는 제대로 보내지 않으면 지도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그런 부분들을 생각하면서 보는게 좋을 것 같다.

  • 다음에는 리덕스와 같은 상태관리 툴이나 리액트 쿼리 등에 대해 자세히 공부해서 개발하고 싶다.


리팩토링 할 것

  • 검색기능 추가
  • 상태에 따른 에러처리 하기(현재는 전체적인 에러만 처리함.)
  • 관리자페이지에 접근할 때 role을 주는데 해당 역할을 jwt와 함께 로컬에 저장해서 매우 위험한 상태이다. 안전하게 저장하도록 바꿔야 한다.
  • useEffect 를 남발하고 있는데 커스텀 훅을 만들거나 다른 리액트 함수를 사용해보자
  • 로딩 처리나 스켈레톤 ui를 적용해보자
  • 무한스크롤 기능 추가

소감

리액트로 프로젝트를 한 것은 처음이라 굉장히 의미있었고, 데브 전까지 완성할 수 있어서 뿌듯했다. 다음에는 dnd같은 기능을 직접 구현해보고 싶고,(이번 지도 api는 경도 위도를 받아 주소값을 반환하는 정도로만 공부해서 아쉬웠다.) threejs나 애니메이션 등 외적인 부분에도 신경써보고 싶다.


업로드중..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7월 30일

이런 유용한 정보를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