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객체 모델(DOM, Document Object Model)은 XML이나 HTML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 이 객체 모델은 문서 내의 모든 요소를 정의하고, 각각의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한다.웹문서를 브라우저에 렌더링 하려면 웹 문서를 로드한
브라우저에서의 이벤트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키를 누르거나 웹페이지가 로드되었을때 등 사용자의 행위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브라우저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와 웹페이지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진다.이벤트가 발생하면 그에 맞는 반응이 필요하다.
javaScript의 모든 객체들이 메소드와 속성들을 상속받기위한 템플릿으로써 프로토타입 객체(prototype object)를 가진다는의미. 상속되는 속성과 메소드들은 해당 객체가 아니라 prototype속성에 정의 되어 있다.즉 prototype은 상속받은 멤버들이
then은 콜백함수인자를 0~2개 받는다.then의 콜백함수는 비동기적으로 실행된다.
DOM Element의 이벤트 핸들러마우스, 키보드 입력타이머타이머 API (4가지)애니매이션 API (requestAnimationFrame)서버에 자원 요청 및 응답fetch APIAJAX (XHR)자바스크립트는 v8엔진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v8엔진은 call s
코딩하면서 모르는 내장함수가 있거나 헷갈릴때마다 정리예정..빈 배열인지 검사 유사 배열 객체 (Array.from return value)reverse()splice()특정 인덱스부터 제외할 문자 갯수를 지정해서 원본배열을 수정함.옵션으로 제외후 요소 추가도 가능 (
스코프 안에 있는 선언들을 모두 스코프의 최상위로 끌어올리는 것을 말함코드를 실행하기 전 인터프리터가 실행 가능한 코드를 형상화 하고 구분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var, let, const, function등 을 스코프에 등록을 한다.위의 과정 덕분에 해당
특정 범위에서 다른 범위에 있는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전역 스코프, 지역 스코프로 나뉜다 (전역 변수, 지역변수 느낌)함수 스코프와 블록 스코프로 나뉜다.함수 스코프는 함수에서 선언한 변수는 해당 함수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함수 스코프는 함수내에서 어디든 사용
MSN 정의 : 함수와 함수가 선언된 어휘적(lexical) 환경의 조합을 말한다. 이때의 환경은 클로저가 생성된 시점의 유효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지역변수로 구성된다.클로저 함수란 외부 함수의 컨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는 내부 함수를 뜻한다. : 이 현상이 없으면 클로
JavaScript에서 객체를 공부하다 객체를 복사할 때 의문이 생겼다. 객체를 복사한 후 복사한 객체를 수정했더니 원본 객체의 값이 변했다 왜그럴까?let a = {name : "K"}let b = a;b.name = "D";console.log(a.name)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크게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Call Stack(호출 스택)작업이 요청되면(함수가 호출되면) 요청된 작업은 순차적으로 Call Stack에 쌓이게 되고 순차적으로 실행 된다. 자바스크립트는 단 하나의 Call Stack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ta
사용자의 브라우저 내부에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작동이 가능file, blob등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음해쉬테이블과 비슷하게 작동( SQL을 사용하지 않음 )SOP를 따름시크릿모드에선 브라우저 종료후 데이터가 삭제된다.비동기
then의 반환값이 resolve나 reject호출 없이 값만 반환하면 fulfilled상태 즉 resolve가 호출된상태로 새로운 Promise를 만드는 방법을 이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