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21021

강지훈·2022년 10월 20일
0

네트워크: 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찌 않은 집합체를 의미

노드: 서버,라우터,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
링크: 유선 또는 무선을 의미

좋은 네트워크: 많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으며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

처리량: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을 말합니다.

단위 bps(bits per second) 초당 전송 또는 수신되는 비트 수

처리량은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할 때마다 커지는 트래픽,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하는 에러, 장치의 하드웨어 스펙에 영향을 받습니다.

대역폭: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지연시간: 요청이 처리 되는 시간

스푸핑: LAN 상에서 송신부의 패킷을 송신과 관련 없는 다른 호스트에 가지 않도록 하는 스위칭 기능을 마비시키거나 속여서 특정 노드에 해당 패킷이 오도록 처리하는 것

네트워크 성능 분석 명령어
네트워크 병목 현상의 주된 원인
-네트워크 대역폭
-네트워크 토폴로지
-서버 CPU, 메모리 사용량
-비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성

ping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려는 대상 노드를 향해 일정 크기의 패킷을 전송하는 명령어

netstat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표시하는데 사용
주로 서비스의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할 때 씁니다.

nslookup
nslookup은 DNS에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쓰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도메인에 매핑된 IP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tracert 목적지 노드까지 네트워크 경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목적지 노드까지 구간들 중 어느 구간에서 응답 시간이 느려지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CP/IP 4계층 모델
애플리케이션 계층/전송 계층/인터넷 계층/링크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응용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이며 웹 서비스,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층입니다.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를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될 대의 중계 역할을 합니다.
TCP는 패킷 사이의 순서를 보장하고 연결지향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연결을 하여 신뢰성을 구축해서 수신 여부를 확인하며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합니다
UDP는 순서를 보장하지 않고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으며 단순히 데이터만 주는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합니다.

TCP는 신뢰성을 확보할때 3-WAY handshake라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작업떄문에 신뢰성이 있는 계층이라고 합니다.

TCP 가 연결을 해제할때 4-WAY handshake과정이 발생합니다.

인터넷 계층은 장치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패킷을 IP 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층

링크계층은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장치 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입니다.

profile
never sto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