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하는 서버는 총 2개이고, 쿠버네티스 공부용으로 3개를 추가로 더 늘려서 사용해보았다.오늘의 고비 라는 프로젝트의 배포도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을 이용하였다.http://www.ogobi.site또한 이미지 업로드를 위해 s3와 같은 object storage
젠킨스 파이프라인과 깃허브 웹훅으로 commit시 자동 빌드/배포23.05.10 ~ 05.14git, DB는 이미 설치 및 세팅이 되어있다고 가정도메인:8081비밀번호 확인 후 접속, 추천 플러그인 설치docker exec jenkins_1 cat /var/jenkin
https://github.com/BanditBool2/ReadingRecord/issues/52채원님 답변더미 메서드(dummy method)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인수의 의미를 명확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at() 메서드는 가격을 나타
https://github.com/BanditBool2/ReadingRecord/issues/46static으로 Map을 관리하는 이유는 생성한 인스턴스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static이 아닌 인스턴스 변수로 Map을 관리한다면, 해당 인스턴스
https://github.com/BanditBool2/ReadingRecord/issues/40클래스로도 가능합니다.CaloricLevel을 나타내는 클래스를 만들고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그룹화 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enum으로 대체하면 더 간
https://github.com/BanditBool2/ReadingRecord/issues/38 생각보다 간단한 내용이었다. 재사용의 의미가 진짜 말 그대로 재사용이었다. 7.2 포크/조인 프레임 워크 포크조인 프레임워크는 서브태스크를 스레드 풀의 작업자 스레드
https://github.com/BanditBool2/ReadingRecord/issues/31p227 6.5.1 Collector 인터페이스의 메소드 살펴보기 중 finisher 메소드finisher 메서드는 누적자 객체를 최종결과로 반환하면서 누적과정을
https://github.com/BanditBool2/ReadingRecord/issues/23p186~187 에서map이 아닌 mapToObj를 쓰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a와 b값 둘을 만들기 위해서 flatMap을 사용했다.map은 map(Functi
https://github.com/BanditBool2/ReadingRecord/issues/13컴파일러는 람다식을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추론하고 인터페이스의 구현 객체를 생성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인터페이스 타입이 명시적으로 캐스팅되지 않으면 컴파일러는 어떤
https://github.com/BanditBool2/ReadingRecord/issues/5외부 반복 : Iterator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별도의 객체를 생성하여 명시적으로 컬렉션의 각 요소를 가져와 처리하는 방식. 개발자가 반복의 처음과 끝을 제어할
현실에서 개념을 추출하는 필터언어엔티티 릴레이션 다이어그램 ER diagram정보그룹관계RDB는 내포관계를 허용하지 않습니다.거대 단일 테이블로 표현하면 중복이 발생한다.따라서..글 저자 댓글 ← 이런식으로 주제에 따라 쪼갬이런식으로 query가능Entity
메모리 관리 기법중 하나로 프로세스 전체가 메모리 내에 올라오지 않더라도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
movie인터넷은 작은 네트워크들이 합쳐진 거대한 하나의 네트워크이다.웹은 네트워크위에 구현되어 있다.웹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로가 통신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