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기능개발

data_hamster·2023년 4월 13일
0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 설명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아이디어

  • 단순히 공정이 완료 되었을 때 몇개가 완료되었는지 출력하는 배열
  • progress, speed 배열이 비어있을 때 까지 while 문 구현
  • 매일 각 progress의 speed의 적용을 for 문으로 구현
  • return 조건: progress의 첫번째 진행이 100%을 넘을 시, progress.pop(0), speeds.pop(0) 수행. while 문으로 다음 progress도 100%을 넘을 시 pop 진행
  • pop 진행시 count += 1 수행
  • return 에 count 값 입력
  • 최종적으로 모든 진행이 수행되면 반복문 종료
  • return 값 반환

내 답안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answer = []

    while len(progresses) != 0 and len(speeds) != 0:
        count = 0
        # 다음날 공정이 100이 넘는 것들이 있으면, 그 공정을 제외하고, answer에 갯수 저장
        while len(progresses) != 0 and progresses[0] >= 100:
            progresses.pop(0)
            speeds.pop(0)
            count += 1
        if count != 0:
            answer.append(count) 


        # 매일의 공정 진행
        for i in range(len(progresses)):
            progresses[i] += speeds[i]


    return answer

어려웠던 점.

  • while, if 문 사용시 빈 값, 없는 배열값에 접근하면 오류나는 것을 잊음. (IndexError 발생)
  • list형일 경우 len, 기타 자료구조의 경우 size() 함수를 통해 없는 값에 접근하는걸 막자
profile
반갑습니다 햄스터 좋아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