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C_LS일렉트릭] Chapter 3

Kwaaaaan·2023년 1월 18일
2

PLC/HMI

목록 보기
4/4

XGI

앞으로 제가 사용하게 될 XGI는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 전기 표준 회의)의 규정에 의해 표준화 규격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데이터 표현

XGI를 포함한 XGR/XEC 등 데이터의 표현은 다음에 나와있는 그림1.과 같습니다.
그림1.
여기서 가장 중요한것은 2진수/8진수/16진수를 나타내는 형태가 어떤지를 눈여겨 봐야합니다.
2진수의 경우 2#ㅁㅁㅁㅁㅁㅁㅁㅁ 혹은 2#ㅁㅁㅁㅁ_ㅁㅁㅁㅁ의 형태로 나타내며 보통 2#ㅁㅁㅁㅁㅁㅁㅁㅁ의 형태를 주로 사용합니다. 이후 8진수 16진수 모두 앞의 8#혹은 16#으로 진수형태를 표현합니다.
BOOL 형식의 데이터는 ON/OFF, 1과0 등 두가지 동작만 수행할 수 있는 1bit형식의 데이터 표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문자열과 날짜/시간의 표현방법

문자열 (Character String)
작은 따옴표(‘ )로 둘러싸인 모든 문자가 문자열에 해당됩니다.
그 길이는 문자열 상수일 때에는 31자 이내이며, 초기화에 사용할 때 역시 31자로 제한합니다.

시간 숫자 (Time Literals)
시간숫자는 경과시간/날짜와 시간/ 두가지가 있으며, 사용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1. 경과시간
표2. 날짜와 시간
표1.의 경과시간에서는 Underline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T#O(시간단위)로 나타내며 시용예에서 형태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표2.의 날짜와 시간은 각각 날짜/시간/날짜와 시간으로 나타내어지며 각각 D#/TOD#/DT# 뒤 원하는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날짜와 시간에서는 자릿수 제한이 있으며, 초를 나타낼 경우 ms단위의 경우 소수점 이하 세자리까지만 표현 가능합니다.

데이터 타입

XGI의 PLC에서는 20종의 기본데이터 타입이 있고, 데이터의 초기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지정되게 만든 약속이 아래의 표에 나와았습니다.
표3. 데이터 타입 및 초기값
데이터 타입의 경우 예제실습을 통해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변수의 표현과 선언

변수는 위치접두어와 크기접두어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치 접두어와 크기 접두어의 표현은 아래 표4와 표5에 각각 나와있습니다.

표4. 위치 접두어
위치 접두어는 표4에 나와있듯이 입력위치를 표현하는 'I'와 출력위치를 표현하는 'Q' 그리고 내부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는 'M''R''W'의 표현방식을 사용하며, M영역은 PLC내부에서 임의로 할당이 가능한 메모리영역이며 'R''W'영역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하지만 'M'영역과 'R''W'영역의 가장 큰 차이로는 'R'과 'W'영역은 리테인 영역이라고 하여, 프로그램이 종료되었을 때 초기값으로 설정되는 영역을 말합니다.

표5. 크기 접두어
크기 접두어는 표5에 나와있듯 각각의 비트단위 크기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차례대로 'X''B''W''D''L'접두어의 크기는 각각 다른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x의 경우 1비트를 사용하며 B는 8비트부터 시작하여 2의 배수로 늘어나 표현합니다.

위치접두어와 크기접두어를 활용하여 A접점 B접점 코일 등 심볼들의 실제 위치지정하여 실제 설비들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A접접의 경우 Input Location 즉 디지털 입력에 위치하고 있어, %IX0.0.0 등 과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단순 ON/OFF동작만 수행하기에 비트단위인 X를 활용합니다. 코일의 경우 %QX0.0.1과 같이 표현 가능하며 출력단에 위치하여 위치접두어로는 'Q', 코일또한 비트단위 동작만 수행하기에 크기접두어로는 'X'를 사용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위치접두어''크기접두어'n1.n2.n3과 같이 표현하게 됩니다.
표6. 표현 형식
ex) %QX3.1.4 또는 %Q3.1.4 3번 베이스의 1번 슬롯의 4번 출력(1 비트)
2번 베이스의 4번 슬롯의 워드 단위로 1번 입력(16비트)
48의 위치에 있는 더블 워드 단위의 메모리
40의 위치에 있는 워드 단위의 메모리 중 3번 비트
(내부 메모리는 베이스, 슬롯 등의 개념이 없음)
%IW2.4.1
%MD48
%MW40.3
※ 접두어로는 소문자가 올 수 없습니다.
※ 크기 접두어를 붙이지 않으면 그 변수는 1비트로 처리합니다.
※ 직접변수는 선언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의 종류

변수의 종류는 읽고 쓸 수 있는 일반적인 변수인 VAR, 정전시 유지시켜주는 VAR_RETAIN, 읽기전용인 VAR_CONSTANT, VAT_GLOBAL로 선언할 수 있는 VAR_EXTERNAL이 있습니다.
여기서 VAR_RETAIN은 PLC의 전원이 끊겨도 데이터의 값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변수를 선언할때 사용하며, WARM RESTART로 설정을 해놓느냐 아니면 COLD RESTART로 해 놓는냐에 따라 바뀌게 됩니다.

profile
스마트팩토리 개발자(를 꿈꾸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