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네트워크
Link Layer의 한 부분
Wireless & Mobility
- Wireless 무선
- 단순히 선이 없는 상태
- Wifi, Cellular
- labtop → wireless하지만 mobility는 아님
- Mobility 이동
- 네트워크 관점에서 연결 중에 네트워크를 넘나드는 상태
- 폰
Wireless network
- 첫 hop만 무선이고 그 후로는 유선이다. 무선일 경우의 관점
- 주로 single hop과 ifrastructure가 있는 걸 의미함
- Collisiton detection이 안된다
- 충돌일 경우 그저 노이즈로 전달되고, 본인 영역에서는 본인 것만 들리기 때문이다.
- Wifi : IEEE 802.II Wireless Lan
- Wireless Fidelity (From Hi-Fi)
- 무선 호스트는 base station (AP) 와 연결되고 이 AP는 Switch와 연결된다.
- Base station을 중심으로 Base Service Set이 생긴다
- AP Scan - passive / active
- Passive
- APs가 beacon frame에 AP 정보를 담아 주기적으로 broadcast
- 이 beacon으로 host들이 판단한다.
- Active
- 호스트가 broadcast해서 연결을 요청함
- AP가 이를 받아서 응답함
- 호스트는 이 중에 하나를 골라서 연결
CSMA/CA
유선 : 충돌이 나면 재전송 (CSMA/CD) ← 충돌 detect가 되기에 가능하다.
무선 : 충돌 감지 불가
- 충돌은 발생하지만 노이즈로 바뀌어 연결되기에 안갔다는 걸 알 수가 없다.
- 대신 충돌 여부를 상대방이 알려준다 → ACK 사용
절차
- DIFS 동안 채널이 조용하면 전송
- 전송된 데이터를 받으면 SIFS만큼 기다렸다가 ACK을 보냄
→ 이때 충돌이 나면 DIFS+ DATA 전송시간 + SIFS + ACK 만큼의 시간이 낭비가 돼 손해가 크다.
+ RTS-CTS 교환을 추가한다.
- DATA 전송 전 RTS를 보낸다
- 작은 전송 단위로 충돌이 날 경우에도 피해가 적기에 테스트용으로 보내보는 것
- RTS가 안전하게 AP에 도착하면 AP는 잘받았다고 CTS를 Broadcast한다.
- CTS(A)를 받으면 A는 DATA를 보낸다.
- DATA를 잘 받았다면 AP는 ACK을 Broadcast한다.
→ 채널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지속 되는 것
Addressing
Wifi Frame에는 총 4개의 address field가 있다.
- Recieve 할 MAC 주소
- Transmit 할 MAC 주소
- 이 과정 중 유선에 연결시킬 Router MAC 주소
- hoc mode에서 사용하는 field → 논외
절차
H1→AP
AP MAC Addr | H1 MAC Addr | R1 MAC Addr
- 3개가 필요한 이유 : AP가 Link layer device이기 때문에
- R1이 없으면 목적지를 모른다. (IP pkt을 열어볼 순 없다)
- AP MAC이 없으면 무선이라 더이상 갈 곳이 없다. 이동 못함
- AP MAC 주소 아는 방법 : 주변 AP가 beacon으로 정보를 broadcast 한다.
- Router MAC 주소 아는 법
- DHCP : [src none][dest IP][broadcast] → GWR IP 보내줌
- → ARP 쿼리 보내기 → Router MAC 주소 얻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