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는.. factory를 쓰는사람도 있고 없는사람도 있고 ..c그러다가 문득 검색해서 알고보니까..약간 유니티의 싱글톤패턴 같은 느낌으로 인스턴스를 한번만 만들게 되는 거란다보통 내가 생성자를 사용할때는..이런식으로 사용하게 된다.bloc를 쓰다보니 상태관리도 해야
flutter 에서 공개된 folio 코드를 보다가 궁금해졌다..AppUser라는 클래스는 추상클래스이고.. \_$AppUser를 상속받는다..?kDefaultImageUrl이라는 전역 변수를 만들고...AppUser.\_ 라는 것도 만들고 (사실 아직 이게 뭔지 모르
내가 주로 사용하는 flutter 의 bloc 를 설명해보려는 글을 쓰려고 한다.첫 회사에 입사했을때는 flutter가 뭔지.. bloc가 뭔지도 몰랐다..c생명주기를 모르다 보니 진짜 이해하지 못하며 개발했다..flutter bloc는.. 뭐 어떻게 동작한다느니 설명
Dart 에서의 Const 와 Final인터넷 자료로 이미 Const 와 Final의 차이는 널리 알려져 있다.간단한 예시로..윗줄은 컴파일 단계에서 값을 알 수 없으니 X아랫줄은 그 이후의 과정이므로 O라는 것이다.그치만.. 린트를 사용한다면 Class에 const를
Flutter Inline코틀린의 Inline에는 2가지의 측면이 있다.함수 호출 최적화:inline 함수는 컴파일 시점에 호출부에 함수의 내용이 직접 삽입됩니다.이로 인해 함수 호출에 따른 오버헤드가 줄어들어 성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람다 표현식과 함께 사용:고차
이책의 다음 내용은 아래와 같다.element 가 사용하는 api updateChildif 가 false 라면 위젯들은 곧 rebuild 된다.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우리는 const 를 사용한다.const의 기본 사용 방법을 보자const 로 선언된 클래스를 아래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