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thumbnail

Next.js Proxy 여러개 설정하기

AWS S3에 업로드된 음원 파일을 URL을 통해 프론트에서 라이브러리를 통해 받아와야 했다. 기존에 설정했던 서버 destination과는 다른 주소를 가졌다. 브라우저에서 URL로 접근하니까 Access Dinied가 발생해서 백엔드 개발자분께 정책 설정을 부탁드렸

2023년 3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VG 겹침 현상

독립된 두 개의 SVG가 똑같은 모양으로 렌더링 된다면

2023년 3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타입가드

e.target.dataset.value의 타입이 string이기 때문에 에러 발생함. 내가 정의해준 타입으로 타입을 좁혀주기 위해 타입 가드 사용.(참고: https://www.qualdesk.com/blog/2021/type-guard-for-string-

2022년 12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원티드 프리온보딩 챌린지 - 리팩토링 (5)

할 일 완료하기, 완료한 할 일 삭제하기 기능 추가

2022년 9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켈레톤 컴포넌트 만들기

스켈레톤 컴포넌트로 친절한 로딩창 만들기

2022년 8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무한 스크롤링 코드에서 How와 What 구분해보기

다독다독을 리팩토링 중이다. 웹 프론트엔드로 공부를 시작하고 나서 처음 만들었던 개인 프로젝트인만큼 컴포넌트 분리도 엉망이고 이래저래 손 볼 곳이 많아보인다. 오늘은 책 검색과 관련한 컴포넌트와 함수들을 리팩토링 했는데 선언형 프로그래밍을 연습하고 정리해볼 수 있는 적

2022년 8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 프론트엔드 구현 포인트 정리하기 - 2. 비동기와 캐싱

프론트엔드에서 중요한 핵심 포인트와 6개월 동안 배우고 적용했던 지식 복기하기 - 2. 비동기와 캐싱

2022년 8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원티드 프리온보딩 챌린지 - 리팩토링 (2)

strict 옵션 적용, 타입 가드

2022년 8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원티드 프리온보딩 챌린지 - 리팩토링 (1)

추상화, 관심사의 분리, 지저분한 코드와 맥락을 이해하기 힘든 변수명 고쳐보기

2022년 8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 프론트엔드 구현 포인트 정리하기 - 1. 상태 관리

프론트엔드에서 중요한 핵심 포인트와 6개월 동안 배우고 적용했던 지식 복기하기 - 1. 상태 관리

2022년 8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중복클릭 방지 로직과 useRef

요리가 나올 때까지 다음 주문은 안 받을게요

2022년 7월 20일
·
0개의 댓글
·

브라우저 저장소

브라우저 저장소에 대해 알아보자

2022년 7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브라우저의 렌더링 원리

놀지 말고 부지런히 파싱해서 트리부터 만들어라

2022년 7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SR(Client Side Rednering) 과 SSR(Server Side Rendering)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과 서버사이드 렌더링의 개념 정리와 비교

2022년 6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요가나라] 우리지역 요행지 지도 만들기 (2)

react-tooltip과 SVG에 CSS를 적용해서 반응형 지도처럼 만들어보기

2022년 6월 1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요가나라] 우리지역 요행지 지도 만들기 (1)

react-tooltip과 SVG에 CSS를 적용해서 반응형 지도처럼 만들어보기

2022년 6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X 패턴

Redux를 쓸건데 뭔지는 알아야 될 것 같아서

2022년 6월 13일
·
0개의 댓글
·

[다독다독] Throttling과 Debouncing

API가 자꾸만 연속해서 호출될 때 씁시다

2022년 6월 10일
·
1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