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ble - Kubernetes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하기 회고 Numble(딥다이브)는 다양한 기술적 주제를 갖고 호스트님의 가이드라인/QnA 를 기반으로 참가자들이 해당 주제에 대해서 딥다이브하고, 내용을 공유하거나 피드백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챌린지를 운영
K8s에 설치된 Vault 의 Raft 스토리지를 주기적으로 AWS S3 버킷에 백업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우리회사는 Kiosk 화면을 Web Application으로 제작하여, Debian 기반 Linux(라즈베리파이와 비슷한 놈에서..)에서 운영하고있다. 이 Kisok 화면을 보여줄 하드웨어의 저장공간이 매우 작다보니(Total은 4GB인데.. OS가 2.4~2.6GB
리눅스 환경에서 파이썬을 사용하다 보면 특정 버전을 사용해야 할 때가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AWS 서비스를 자주 사용하다 보니 3.7 버전대의 파이썬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 리눅스 환경에서 가끔 설치되어있는 파이썬 버전이 3.6.9라던지...
AWS IoT (Mqtt) / React / Chart.js 를 활용한 실시간 그래프 데모 앱
이 글에서는 Jenkins, Github, aws S3를 활용하여 리액트 앱을 배포(호스팅)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호스팅은 S3 버킷 정적 호스팅 기능을 이용하며, 추후 Route53, Cloudfront와 같은 AWS 서비스를 사용하여 도메인 연결까지도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Ubuntu EC2 인스턴스에 Jenkins를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어지는 글에서는 Jenkins를 통해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할 예정입니다.올해 초 DND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Jenkins를 구축한 내용을 기록하려고 한다
싱글톤 디자인 패턴은 글로벌하게 접근 가능한 하나의 객체를 제공하는 패턴이다.로깅이나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 프린터 스풀러와 같은 동일한 리소스에 대한 동시 요청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인스턴스를 공유하는 작업에 주로 사용한다.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의 일
왜 이런 짓을 시작했을까? 최근 DND 사이드 프로젝트를 마무리했다. 간단한 웹 서비스 배포 프로젝트였는데 프로젝트 종료 이후 배포된 웹 어플리케이션에 눈에 띄는 버그가 있었다. 바로 부자연스러운 한글 조사였다! 실제 PR 기록 : https://github.co
치환 원칙(The Substitution Principle)이란 상속받는 클래스는 기본 클래스의 역할을 완전히 치환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말 그대로 파생된 클래스는 기본 클래스를 완전히 확장해야 한다는 의미다.코드 수정 또는 추가 없이도 파생된 클래스는 기본
단일 책임 원칙(The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이란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을 가져야 한다는 원칙이다.클래스를 구현할 때 한 가지 기능에만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이 필요하다면 클래스를 나눠야 한다.이 원칙에서는 클래스
인터페이스 분리의 원칙(The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이란 클라이언트는 불필요한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이다.이 원칙은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작성을 유도한다.
제어 반전 원칙이란 상위 모듈은 하위 모듈에 의존적이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이다.가능한 모두 추상화에 의존해야 한다. 추상화가 세부 사항에 의존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이 원칙에 의하면 모듈은 지나치게 상호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AWS S3는 Simple Storage Service를 줄여 S3라고 부른다.이 S3는 여러 용도로 쓰이는데 대표적으로 아래 세가지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정적 리소스 저장용 (웹 하드 느낌?)정적 웹 페이지 및 콘텐츠 호스팅정적 리소스 서버로 활용이번에 해결한 이슈는
2021년 새해가 되면서 2020년을 회고해야지 회고해야지 미루고 미루다 오늘 출장갔다가 복귀하는 길에 오늘은 정말 써야겠다 생각해서 작성하는 2020년 회고
안녕하세요! 최근 애플에서 새로운 버전의 macOS Big Sur를 배포했습니다!빅서게이트도 그렇고, 업데이트 이후 맥이 느려졌다고 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 같습니다!
최근 동아리에서 진행중인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M:N 관계의 정석이라고 할 수 있는 태그 기능을 구현하면서 겪은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