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 함수형 컴포넌트가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
useState 를 사용 할 땐 코드의 상단에서 import 구문을 통하여 불러와야함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useEffect } from 'react';
let count = 0
const count = 0
const[count,setCount]=useStatue(0)
// 0이 초기값을 가지는데 count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count는 변수명, useState는 변수 만들기, setCount는 변수 바꾸기 이다.
count의 값이 0으로 바뀌게 된다
ex)
function zzz(){
const aaa =Number(document.getElementById("qqq").innerText) + 1
document.getElelmentByID("qqq").innderText = aaa
}
return (
<div>
<div id="qqq">0</div>
<button onClick={zzz}>카운트 증가 !!</button>
<div>
)
const [count, setCount] =useState(0)
function zzz(){
setCount(count + 1)
}
변수 바꾸는 방법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