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ngth는 배열의 길이, length()는 문자열의 길이, size()는 컬렉션 프레임 워크 타입을 의미한다.이제는 좀 적응 될 만한데 아직도 이걸 헷갈려 하는게 사람인지 짐승인지 모르겠지만 좀 외워라고 적어둔다 아이고야 조건 연산자는 조건식 ? 식1(true일 때
이 코드는 어제 배운 stream을 써보고 싶어서 쓴 코드이다.좀 더 읽기쉽게 풀었다. 방법은 v1, v2 둘 다 동일하다.먼저 참가자들의 이름으로 <이름, 사람 수(동명이인수)> HashMap을 생성하고 완주자들을 순회하며 map에서 사람수를 줄여나갔다. 만약
풀이 방식은 먼저 phone_book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정렬의 이유는 길이가 긴것을 앞에 두기 위함이다.이렇게 정렬한 다음 앞에서 차례대로 set에 그 값이 있는지 비교한다. set에는 지금까지 순회한 문자열의 모든 접두사가 들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set에 값
[Hash 4일차] 위장 ⬇️ 나의 코드 v1 ⬇️(Kotlin) ⬇️ 나의 코드 v1 ⬇️(Java) 풀이 방식은 로 map 을 만든 뒤 그 개수를 모두 곱한다. 이때 입지 않는다 라는 선택지도 있기 때문에 +1 을 한 상태로 곱한다. 이러면 아무것도 입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