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에서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동기와 함께 공부하고 팀플도 해 본 솔직한 경험
\- 정적배포도 https로 가뿐히 바꿔주고 시작해볼까유이제 내가 배포했던 사이트 yarn start해주고, 수정할거 생기면다시 깃 클론하고 yarn build해서 켜주는거 과정 머릿속에 있어야한다!다른 컴터에서도 들어갈수 있는 외부ip주소배포는..이제 익숙해!!\->
우리 이렇게 들어가서 보면, 기본값이 맵핑된 주소였지!http인것을 볼 수 있다근데 주소입력해서 들어가는것이, 바로 맵핑이 진행되는게 아냐!naver.com armysssir.shop..이런주소들을 모아놓는 서버를 root dns서버라고 한다 ! 전세계에 13대가 있다
전체적 그림 복습 ! dns가 브라우져에서 ~.com 요청 받으면 ,요청을 ip주소로 바꾸어서 따로 lb(로드벨런서에)보내준다고 했지!그러면 로드밸런서는 ssr(서버사이드렌더링) ssg(스토리지에 저장된 정적파일!)에따라 요청을 분기를 처리한다 . 스토리지에 정적파일
하.. 너무 아쉬운 코캠의 마지막 8주차 커리큘럼 내가 로컬호스트로 틀어서만 확인 가능했던 사이트를 도메인을 직접 사서 배포 할 수 있다니 ?! 정말 너무나 설레는군...? (오류없이 포폴을 잘 만들어 놓자)게다가 깃헙으로 협업까지 배운다고 한다.. 정말 실무로 나가기
\-> 실패해도 큰 영향이 없는 데이터, 실패할 가능성이 많이 없는 데이터에만 사용하자 !실제로 99% 성공확률일때만 쓰세요! 라고 나와있다 (여러테이블에서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일수록 Good)게시물 좋아요 기능을 생각해 봤을때, 게시물 좋아요를 누르고 다시 fetch
실무 작성 코드 위주로 배우자, 자꾸 새로 만들지 말고 , 메모해 놓는거 어때 ? \-컴포넌트를 만들어놓고 봐보자 State는 변경되면서 컴포넌트가 바뀌면서 페이지가 리렌더링이 된다문제는 countLet이 State누를때마다 같이 초기화 됨(화면에도 안나타나고)\-특정
오늘 배울 내용 우리가 기존에 쓰던 이미지 업로드 방식 백엔드의 uploadFile api요청을 통해서 storage에 사진을 저장하고, url을 받아와서 브라우저에 url을 넘겨주었었다.그 다음에 그 url을 첨부해서 createBoard api요청을 해서게시글에 이
7주차의 커리큘럼 ! (꺄 드뎌 refreshToken 배워서 토큰만료 에러를 보지 않을수 있게 되었다!)우리는 여지껏 토큰 만료가 되는 accesstoken을 썼었다 (로그인해서 토큰 받아와서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해주는 방식으로!)\-백엔드 컴퓨터에 메모리세션에 로그인
전역 상태 관리우선, React의 useState를 이용하면 지역 상태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사용하는 컴포넌트 안 혹은 props로 전달할 때만 하위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모든 상태 관리를 useState만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배울 내용 \-네이버 구글 카카오등등..개발자 전용 사이트가 있었네!\-카카오 개발자 사이트에 가입해서 내 애플리케이션 추가해보자(폴더라고 생각)
\-카드결제\-계좌이체\-무통장입금\-정기결제이것들은 다 따로 결제프로세스를 만들어야 한다 ! 보통은 결제 대행 업체가 있다! -> Payment Gate 회사들PG사와 협업 해야함(NHN, 나이스페이, KG이니시스등등..)\-pg에 가입, 계약, 코드를 받아서 결제
웹에디터 이해크로스사이드스크립트(XSS)OWASP TOP 10
우리가 배웠던 자바스크립트같은 any타입 ! 아무거나 넣어줘!비슷한.. 나는 모르겠어! 라고 말하는 unknown 타입\- 비회원 전용 장바구니가 있다구 ? localStorage 응용 Basket
신나는 6주차의 커리큘럼 !!!(와씨 타입스크립트쓰다가 맨날 가능한 제네릭이 아닙니다..그놈의 제네릭 제네릭으리아ㅡㄹ아거!!!!1이랬는데 드디어 배운다 ㅠㅠ!!!!!!!!!!)기존에 객체에있는 값을 꺼내올때 간편하게 표현하게 하기 위해 적는 방식이 비구조화 할당 ! 중
오늘의 알고리즘 문제 ! 마지막에 갓범수님한테 int의 범위에 대해 듣게되고 맞추었다...!숫자의 타입 정리해놓차오늘 배울것요청과 그림을 그려주는 부분(리렌더링) 모두 자동 화면이 그려질때 요청이가고 , data로 받아오고 자동으로 그 데이터를 가지고 화면에 그리게 된
'어려움' 문제를 내가 스스로 생각해서 처음 맞췄다!!!!!!!!!!!!!!!오늘 등원할때 궁둥이에 찝찝한게 묻어서 기분이 안좋았었는데 문제 잘푸려고 그랬나보다. 너무너무 행복하다 ! 알고리즘 풀이접근법을 잘 몰랐던 내가 이렇게 발전할 수 있는 이유는1.RunJS를 켜
오늘 문제 읽자마자 왜저래 진짜..하고 덮고 기본문제 푸는중 ㅠㅠㅠㅠ어찌해야할지 생각이라도 해보자 ?! 이 fetch하는 쿼리문을 봤을때, api요청이 어디서 일어나는가에 중점 !(cache에서 찾아오는건지, api가서 요청 데이터 받아오는건지 !)밑에 컴포넌트 안에서
오늘 아침에 포폴 적용시킬것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자세히 볼것들! https://velog.io/@parfaite73/Project1-7-%EA%B2%80%EC%83%89%ED%95%84%ED%84%B0-%EC%97%AC%EB%9F%AC%EA%B0%9C-%EC%A1%B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