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면접 연습 기록(3) - 2024.6.17

동준·2024년 6월 17일
0

1. 스프링 IoC와 DI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IoC는 제어의 역전이라는 개념으로, 객체의 생성과 관리를 개발자가 아닌 프레임워크가 담당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IoC를 통해 코드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과 재사용성을 높이며, 테스트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개발자는 로직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DI는 의존성 주입이라고 하며, 객체가 필요로 하는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DI는 IoC를 구현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스프링에서는 생성자 주입, 세터 주입, 필드 주입 등의 세 가지 방식으로 의존성을 주입합니다. 의존성을 주입하게 됨으로써 객체 간의 관계가 약화되고 주입 대상 객체의 수정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게 됩니다.

2. DI하는 세 가지 방법에 대해서 비교해보세요. 그리고 그 중 스프링에서 권장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의존성 주입의 방법에는 생성자 주입, 필드 주입, 세터 주입이 있습니다. 생성자 주입은 최초 빈(Bean) 1회의 호출을 보장하며, 후술할 다른 방식과 달리 필드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컴파일 시점에서 순환참조를 체크하기 때문에 에러의 초기 발견이 가능합니다.

클래스의 필드에 @Authwired 어노테이션을 할당하면 필드 주입이, 세터 메소드에 @Authwired 어노테이션을 할당하면 세터 주입을 구현하게 되나 이 둘은 순환 참조로 인한 오버스택플로우 발생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런 연유로 스프링 4 이상에서는 생성자 주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3. 스프링 부트가 아니라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다뤄본 적이 있나요?

토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Spring 프레임워크를 다뤄본 적은 없습니다. 다만, Spring Boot만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 데에는 다음과 같습니다. Spring Boot에서는 개발자가 설정 파일을 작성할 필요 없이, 프로젝트의 설정과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Spring에서 제공하는 여러 기능들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개발자가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특히 현재 개발의 주요 추세인 ORM 기반 JPA 활용에 있어 자동 설정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선택 근거로 삼았습니다.

다만, Spring은 빈 객체 간의 의존성 설정 등에 있어 정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Spring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

4. JPA를 다뤄본 적이 있나요?

네, 주요 프로젝트 경험에서 JPA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했습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데이터를 매핑하는 기술을 활용해서 SQL문 작성 의존성을 줄이고 복잡한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추상화하여 서버 사이드 코드 로직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5. 사용해본 ORM이 무엇인지와, ORM의 장단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현재로써는 ORM을 Hibernate만 사용하였습니다. 사실 Hibernate 말고도 EclipseLink, DataNucleus 같은 프레임워크도 존재하지만, Hibernate가 가장 많이 쓰이는 건 범용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하고 특정 SQL에 종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선택 근거로 삼았습니다.

다만, SQL문에 비의존적일 수록 hibernate 등이 대신 작성하는 데에 드는 리소스 비용이 존재하며, SQL문의 고급 기능을 완벽하게 활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네이티브 쿼리 등의 추가 러닝 커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JPA의 영속성 컨텍스트가 가지는 특성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슈에 대해 아는 것을 말씀해주세요.

영속성 컨텍스트는 엔티티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동일한 엔티티에 대해 동일한 인스턴스를 반환하여 동일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연관 관계의 데이터를 필요할 때까지 로딩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최적화를 이뤄낼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이 활성화된 동안에만 영속성 컨텍스트가 엔티티를 관리하며, 트랜잭션이 종료되면 영속성 컨텍스트가 닫힙니다.

다만, 지연 로딩 설정에 따라 추가적인 쿼리가 실행되어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N+1 문제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트랜잭션의 경계를 명확히 지정하지 않으면 데이터 일관성이 깨질 수 있으며, 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엔티티가 메모리에 살아있으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Kafka와 RabbitMQ를 비교하여 설명해 주세요.

Kafka는 대규모 실시간 스트리밍과 로그 수집에 적합하며, 높은 처리량과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합니다. 반면 RabbitMQ는 메시지 큐와 작업 처리 큐 등 다양한 메시징 패턴을 유연하게 지원하여, 각 메시지의 라우팅과 안전성을 중시하는 환경에 적합합니다.

8. RabbitMQ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RabbitMQ를 직접적으로 프로젝트에 활용하지 않아서 그 부분은 숙지하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9. Redisson Lock의 원리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Redisson Lock은 redis 기반의 동시성 제어 수단이며 스핀 락 방식이 아닌 publish/subscribe 방식으로 구현이 되어있기 때문에 lettuce 와 비교했을 때 redis 에 부하가 덜 가는 편입니다.

publish/subscribe 방식은 락이 해제될 때마다 subscribe중인 클라이언트에게 락 획득 가능 알림을 보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에서 락 획득을 실패했을 때, redis에 지속적으로 락 획득 요청을 보내는 과정이 사라지고 이에 따라 부하가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Redisson은 RLock이라는 락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비교적 손쉽게 락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10. JPA에서 DAO, DTO를 사용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해보세요.

DAO는 데이터베이스 접근 로직을 캡슐화하여 비즈니스 로직과 분리함으로써 코드의 구조화와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DTO는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객체로, API의 데이터 포맷을 맞추거나 엔티티의 일부 필드만 전달할 수 있어서 시스템 간 데이터 통신을 관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profile
scientia est potentia / 벨로그 이사 예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