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이제이션을 담당하는 useMemo와 useCallback 이라는 두 가지 리액트 훅을 살펴보고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뭐가 있는지 알아보자.
React 개발자에게 "React에서 리렌더를 유발하는 것은 무엇인가요?"와 같은 질문을 하면 몇 가지 다른 대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next.config.js에서 onDemandEntries로 리로딩을 방지할 수 있다!
MSW(Mock Service Worker)는 Service Worker를 이용해 서버를 향한 실제 네트워크 요청을 가로채서(intercept) 모의 응답 (Mocked response)를 보내주는 API Mocking 라이브러리이다.
requestAnimationFrame이란?
Warning: useLayoutEffect does nothing on the server, because its effect cannot be encoded into the server renderer's output format.
무한 스크롤을 구현하거나 특정 요소를 관찰하고 싶을 때는 Intersection observer API를 사용하자!
약 3개월 동안의 취준이 끝나고, 최종합격 후 1개월이 더 지났다. 시간이 더 지나기 전에 취업 준비를 하며 얻은 정보들, 취업 과정, 그리고 다음 취준 시 개선해야 할 점을 정리하려고 한다.
1. 동기 vs. 비동기 우선 차이점 부터 설명하자면, 동기는 '직렬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이고 비동기는 '병렬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이다. 즉, 비동기란 특정 코드가 끝날때 까지 코드의 실행을 멈추지 않고 다음 코드를 먼저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동기 처리를 예로
jwt란? JWT(Json Web Token)의 약자로, Json 포맷을 이용해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암호화 한 웹 토큰이다.
클로저란, 어떤 함수 A에서 선언한 변수 a를 참조하는 내부함수 B를 외부로 전달할 경우, A의 실행 컨텍스트가 종료된 이후에도 변수 a가 사라지지 않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