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의 명령어를 yml 파일로 만들어서 실행시켜 주었다!
version: '2'
services:
zookeeper:
image: wurstmeister/zookeeper
container_name: zookeeper
ports:
- "2181:2181"
kafka:
image: wurstmeister/kafka:2.12-2.5.0
container_name: kafka
ports:
- "9092:9092"
environment:
KAFKA_ADVERTISED_HOST_NAME: 127.0.0.1
KAFKA_ZOOKEEPER_CONNECT : zookeeper:2181
volumes:
-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잘 작동되고 있는 지 확인하기
docker desktop 혹은 docker ps 를 통해 kafka , zookeeper 가 잘 작동 중인지 확인하기!
kafka의 topic 확인하고 추가하는 방법
1) kafka 서버 내로 들어가기
: docker exec -it kafka bash
2) kafka에 localhost:9092로 작동되고 있는 topic 확인하기
: kafka-topics.sh --list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3) kafka에 topic 추가하기
: kafka-topics.sh --create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replication-factor 1 --partitions 1 --topic test
( 혼자 개발하는 서버이기 때문에 replication-factor를 1 , partitions도 마찬가지로 1로 주었으며 topic 이름은 test로 지정한다는 뜻 )
4) kafka 에서 발행이 잘되었는 지 확인하기 (topic에 값이 들어오는 지)
: kafka-console-consumer.sh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topic loan_request --from-beginning
(--from-beginning 옵션을 추가해주면 맨 처음 데이터부터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