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 7강

늘보·2021년 7월 6일
1

컴퓨터 네트워크

목록 보기
6/10

→ Open in Slid

  • 본 글은 이전에 사용하던 영상 강의 필기 앱인 'Slid'에서 필기 했던 내용을 Velog로 옮긴 내용입니다.
  • 본 글은 이화여대 이미정교수님 2014학년도 1학기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강의 링크 :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046412

POP, IMAP, HTTP

컴퓨터 네트워크 7강 image

수신측 서버 - 클라이언트 간 프로토콜(Mail-Access Protocols)

  • POP, IMAP, HTTP가 사용된다.

POP

  • 인증 단계와 트랜잭션 단계로 구성된다.
  • 다운로드-삭제 모드와 다운로드 - 유지 모드가 있다.
  • 어쨌든 Stateless하다.

IMAP

  • 모든 메세지를 서버측에 저장해서 State를 유지한다.
  • 대신 서버 부담이 커진다.

DNS (Domain Name System)

Domain

  • 기억하기 어려운 IP 주소 대신 www.google.com 과 같이 알기 쉬운 이름을 쓴다. 이 이름이 도메인이다.
  • DNS : 숫자로 된 IP주소와 문자로 된 Domain을 연결짓는 시스템이다.
  • 한 서버가 모든 IP에 대해 D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계층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 분산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되어있다.

DNS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할텐데 왜 코어에서 구현 안했을까?

  • 인터넷의 기본 철학은 코어는 전송에만 집중해서 속도를 향상하고
  • 복잡성을 키울 수 있는 시스템은 엣지쪽으로 보내는 것이다.
  • 따라서 모든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지만 DNS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돼있다.

DNS 서비스 4가지

Translation

  • 호스트 네임(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한다.

Host Aliasing

  • www.naver.com 이 사실 mobile.main.naver.com....일 수도 있다.
  • - Aliasing 이름과 Canonical 이름을 매핑한다.
  • - 복잡한 이름의 Canonical 이름은 여러개의 간단한 별칭을 가질 수 있다.

Mail Service Aliasing

  • 이메일을 보낼 때 ~~~ @ naver.com 이라고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메일서버로 매핑이 된다.

Load Distribution

  • 특정 아이피(특정한 서버)가 www.naver.com의 모든 트래픽을 감당하면 한 서버가 뻗을 수 있다.
  • DNS를 이용해서 www.naver.com 으로 등록된 여러 아이피에 고르게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다.

DNS가 중앙 집중된 시스템이라면

  • 문제점 1. 중앙 DNS 서버가 뻗어버리면 모든 DNS 서비스가 마비된다.
  • 문제점 2. 중앙 DNS 서버 주위로 트래픽 과부하가 일어난다.
  • 문제점 3. 가용성이 100프로에 근접해야 하는 시스템이므로 유지보수가 어렵다.
  • 문제점 4. DNS 서버까지 거리가 먼 곳이 존재한다.
  • 그러므로 DNS서버는 분산시스템이어야 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7강 image

Hierarchical DNS (3단계)

  • Root DNS(1): .edo .com, .org, ....의 하위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버를 알고 있다.Root DNS 서버는 .com을 관리하는 서버, .org를 관리하는 서버, ......의 아이피를 알고 있다. 가장 큰 도메인을 알고 있다.
  • TLD DNS(2): Top Level Domain DNS의 약자이다.
    URL 맨 뒤에 있는 .com 과 같은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들을 관리한다.예를들어 .com을 관리하는 TLD 서버는 google.com, naver.com, ...... 의 아이피 주소를 알고 있다. 자기 밑에 있는 기관별 도메인을 담당하는 authortitive DNS가 누군지 알고 있다.
  • Authorititive DNS(3)
  • - TLD의 하위 도메인들을 관리한다.
  • - 예를들어 google.com을 관리하는 Authorititive DNS 서버는 www.google.com, mail.google.com의 IP를 알고 있다.
  • 기관 내에 인터넷에 connect된 모든 컴퓨터에 대해 Host name to IP address mapping정보를 알고 있다.

Local DNS

  • 당연히 DNS 서버도 캐시 (프록시)서버를 둘 수 있다.
  • 보통 TLD 서버의 IP주소를 알고 있어 Root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 이 캐시가 얼마나 유지될 것인지 Time to Leave값을 가지고 있다.

DNS: root name servers

컴퓨터 네트워크 7강 image

Recursion VS Iteration

  • Recursion 방식
  • 호스트 -> Local -> Root -> TLD -> Authorititive -> TLD -> Root -> Local -> 호스트이와 같은 과정을 각 DNS 서버를 찾을 때마다 반복한다.
  • Iteration 방식
  • 호스트 ->Local -> Root -> Local -> TLD -> Local -> Authorititive -> Local -> 호스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