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ekjoon - 입출력과 사칙연산

do yeon kim·2022년 6월 7일
0

입출력과 사칙연산


2557print("Hello World!")

출력문print()함수를 이용한 문제해결




10718print("강한친구 대한육군", "강한친구 대한육군", sep ="\n")

출력문print()함수를 이용한 문제해결
또한 print() ()안에 마지막 sep ="\n"이라는 구분자를 줌으로써 문자열 사이를 줄바꿈으로 출력했다.
두 문자열 사이에 다른 구분자를 줄수도 있다.
"vs",":"등 다양한 구분자를 입력할수 있다.




10171print("\\    /\\")
print(" )  ( ')")
print("(  /  )")
print(" \\(__)|")

문자열 출력문제로 탈출문자의 활용을 요구한다.
"문자열" 안에 또 다른"",'',을 사용할 경우에 대한 \역슬래쉬 활용




10172print("|\\_/|")
print("|q p|   /}")
print('( 0 )"""\\')
print("|\"^\"`    |")
print("||_/=\\\\__|")

문자열 출력문제로 탈출문자의 활용을 요구한다.
"문자열" 안에 또 다른"",'',을 사용할 경우에 대한 \역슬래쉬 활용
또한 문자열 안에 \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를 두 번 사용함으로써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1000번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입력받은 두 수의 합을 구하는 문제
input()함수를 이용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받는다.
1.a, b = map(int, input().split())
2.split()로 입력 시 공백을 기준으로 한 번에 사용자로 부터 데이터 입력
3.map(함수, 순회가능데이터)로 입력받은 문자를 하나 씪 int로 형변환을 시킨다.
4.int로 형변환 한것을 패킹으로 a,b에 각 각 할당
5. a+b 값을 출력




1001번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입력받은 두 수의 차를 구하는 문제
1.a, b = map(int, input().split())
2.split()로 입력 시 공백을 기준으로 한 번에 사용자로 부터 데이터 입력
3.map(함수, 순회가능데이터)로 입력받은 문자를 하나 씪 int로 형변환을 시킨다.
4.int로 형변환 한것을 패킹으로 a,b에 각 각 할당
5. a-b 값을 출력




10998번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입력받은 두 수의 곱을 구하는 문제
1.a, b = map(int, input().split())
2.split()로 입력 시 공백을 기준으로 한 번에 사용자로 부터 데이터 입력
3.map(함수, 순회가능데이터)로 입력받은 문자를 하나 씪 int로 형변환을 시킨다.
4.int로 형변환 한것을 패킹으로 a,b에 각 각 할당
5. a*b 값을 출력




1008번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입력받은 두 수의 나누기를 구하는 문제
1.a, b = map(int, input().split())
2.split()로 입력 시 공백을 기준으로 한 번에 사용자로 부터 데이터 입력
3.map(함수, 순회가능데이터)로 입력받은 문자를 하나 씪 int로 형변환을 시킨다.
4.int로 형변환 한것을 패킹으로 a,b에 각 각 할당
5. a/b 값을 출력




10869번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입력받은 두 수의 사칙연산, 몫, 나머지를 구하는 문제
1.a, b = map(int, input().split())
2.split()로 입력 시 공백을 기준으로 한 번에 사용자로 부터 데이터 입력
3.map(함수, 순회가능데이터)로 입력받은 문자를 하나 씪 int로 형변환을 시킨다.
4.int로 형변환 한것을 패킹으로 a,b에 각 각 할당
5. a+b(합), a-b(차), a*b(곱), a//b(몫), a%b(나머지) 값을 출력




10926번
a = input()
print(a+"??!")

입력받은 문자에 문자열 합치기
1.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사용자 입력은 기본적으로 문자열 형태이다.
2.문자열끼리 합치는 경우 + 또는 ,를 이용할 수 있다.
,의 경우는 공백이 포함되어있으므로 주의하자!!!





18108번
y = int(input())
print(y-543)

print(int(input())-543)

입력받은 문자와 숫자 계산
1.입력받은 문자를 숫자형뎅터로 변화
2.두 데이터를 사칙연산




10430번
A,B,C = map(int, input().split())
print((A+B)%C)
print(((A%C) + (B%C))%C)
print((A*B)%C)
print(((A%C)*(B%C))%C)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 %




2588- 방법1
a = int(input())
b = int(input())

print(a*((b%100)%10))
print(a*((b%100)//10))
print(a*(b//100))
print(a*b)


2588- 방법2
a = input()
b = input()

print(int(a) * int(b[2]))
print(int(a) * int(b[1]))
print(int(a) * int(b[0]))
print(int(a)*int(b))

세자리 수의 곱에 대한 문제풀이
방법1
1.int(input()) 사용자 입력시 바로 int로 형변환
2.%// 연산자를 활용해서 세자리수 ex)abc의 각각 a,b,c의 값을 구한다.
3. 마지막으로 a와 b의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수를 각각 곱해서 출력

방법2
1.input()으로 사용자로부터 문자열을 입력받는다.
2. 문자열이므로 순서가 있는 데이터 이고, 인덱스번호로 각 자리에 대한 수를 출력
3. 출력시 int형으로 형변환 후 출력




25083print('         ,r\'"7')
print("r`-_   ,'  ,/")
print(" \. \". L_r'")
print("   `~\/")
print("      |")
print("      |")

/를 이용한 문자열 출력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