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Index)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대한 검색 성능 속도를 높여주는 자료구조이다. 특정 컬럼에 인덱스를 생성하면, 해당 컬럼의 데이터들은 정렬하여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의 물리적 주소와 함께 저장된다. 이렇게 인덱스를 생성했다면 앞으로 쿼리문에 w
V1이란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번에 새로운 기능을 업데이트한 V2버전을 개발하여 서버에 배포하려고 한다. 중단 배포의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1\. 새로 개발한 V2버전을 다운로드2\. V1과 V2는 같은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V2를 실행하기전
JAVA에서 웹애플리케이션은 JEE 스펙에서 정의한 디렉토리 구조를 갖는 war파일의 형태로 컨테이넝 배포된다. 빌드 관리 도구인 메이븐에서는 웹애플리케이션을 package단계에서 기본적으로 war 파일로 포장한다.그런데 war라는 아카이브 파일로만 배포할 수 있는 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꿔주는 과정보통 java, C컴파일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일(jar, war)빌드 도구\-소스코드를 컴파일, 테스트, 정적 분석 등을 실시하여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동생성해주는 프로그램\-늘어나는 라이브러리의
클러스터(Cluster)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마치 하나의 컴퓨터처럼 동작하도록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즉 여러 대의 서버들 전체를 한 대의 서버 시스템과 같이 동작하게 하는 기술을 말한다.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특정 서버의 상태에 의존하지
도메인 모드는 JBoss AS7에서 사용할 수 있는 두 개의 구성방법 중 하나다.도메인 모드는 여러 개의 물리적 서버와 가상 서버(호스트 컨트롤러)들을 중앙의 도메인 컨트롤러로 관리한다. 도메인 모드에서 인스턴스(서버) 정보들을 서버 그룹이라는 논리적 단위로 묶어 관리
JBoss AS 7 에는 도메인과 스탠드얼론 모드라는 두 개의 구성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이 두 모드는 다음에 알아보기로 하고 각 모드의 시작과 정지만 먼저 알아보자.스탠드얼론 모드로 서버를 시작하려면 $JBOSS_HOME/bin/standalone.sh를 실행한
JBOSS란? JBOSS는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 오픈소스 미들웨어(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총칭이다. 국내에선 아직 톰캣을 가장 많이 사용 중이지만 국외에서는 오픈소스라는 장점으로 인해 매우 인기 있는 WAS로 자리잡고 있다.
sudo 명령을 입력한 일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정이 없는 경우 이런 오류를 발생하는데문제해결을 잘 풀어놓은 링크가 있어 첨부한다sudo 링크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갑작스런 이용자의 증가, 사업 확장 등의 이유로 더 많은 서버 용량과 성능이 필요하게 된다.이번 글에서는 서버를 확장하기 위한 두가지 방법인 스케일 업(Scale-up)과 스케일 아웃(Scale-out) 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스케일 업은 쉽게
이클립스 실행 후 상단 아이콘 Open Perspective를 클릭하여 창을 오픈 후오픈된 창에서 Database Development 선택합니다.왼쪽 Data Source Explorer 창의 Database Connection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여 New선택하면O
JBOSS는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 오픈소스 미들웨어(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총칭입니다. 국내에선 아직 톰캣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국외에서는 오픈소스라는 장점으로 인해 JBOSS AS는 매우 인기 있는 WAS로 이미 자
웹 서버, 웹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명칭들이 비슷하다.이참에 확실하게 정리해본다.사용자가 웹에 접속해 간접적으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반대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이다.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pc에 설치되어 인터넷
포트 포워딩을 이용한 가상머신속 안의 아파치 서버접근 VirtualBox로 OS를 올린 후 웹서버 등을 구축해서 Host 또는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컴퓨터들에서 접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물론 Host PC가 공인아이피를 사용한다면 실제 웹서비스도 가능합니
오라클을 설치했으니 본격적으로 sqlplus를 사용해보겠습니다.예제로 배우는 ORACLE 11g이 링크를 참고하여 공부하길 바랍니다.cmd -> sqlplus 입력하면 user-name을 입력하라고 합니다.우리는 dba사용자 계정을 이용할 것입니다.Enter user-
11g XE버전이 제일 많이 쓰는 버전이라 최신버전보다 이 버전을 택했습니다.Oracle Database 11g Express Edition 다운 링크제 개발환경은 Java8이라서 최신 sql developer를 설치할 수 없기에 19.2.1버전을 쓸 겁니다.19.2.
개발환경설치 jsp를 시작하기에 앞서 우리는 이클립스와 톰캣으로 서버를 연동하여 jsp를 작성할 겁니다. 그러기 위해선 준비작업이 필요합니다. > Java8(jdk,jre) Eclipse 2022-12 Tomcat 9.0 위 3가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연동해보겠습니
구글에 검색해보면 자바 환경변수를 설정해야 하는 방법을 찾아 따라하면 누구나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생략하고 환경변수를 왜 설정해야하는지 그리고 환경변수를 설정할 때 나오는 개념들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 환경변수란? 환경변수란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
우리가 흔히 아파치라고 부르는 것은 Apache HTTP Server를 의미하는 데이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그룹인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Apache Software Foundation, ASF)에서 만든 웹서버 프로그램이다.1998년 6월에 처음 세상에 공개가 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