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클라우드 파헤치기 #0

Kate·2023년 7월 26일
0

클라우드

목록 보기
1/3
post-thumbnail

☁️ 클라우드란? ☁️

💡 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터 자원에 언제 어디서나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델이다. - 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 NIST

💡간단히 '클라우드'로도 불리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애플리케이션부터 데이터 센터까지 모든 on demand 컴퓨팅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단위 요금부과 방식으로 제공한다. -IBM

=> 즉, 클라우드란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IT 자원(서버, 저장소, 네트워킹, 소프트웨어)을 제공받고 사용한 만큼 대가를 지불하는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 클라우드의 역사 ☁️

클라우드란 기존의 그리드, 병렬 컴퓨팅, 가상화와 같은 다양한 기술에서부터 진화되어 왔다. 클라우드의 전반적인 개념인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팅 리소스를 전달한다"의 시초는 1960년대였다.

  • 1960년대 "가상화"라는 용어 사용
  • 1970 ~ 1990년대 가상화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발전
  • 다양한 하이퍼바이저의 출현
    • IBM Logical Partition
  • 2006년도 Amazon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시작(EC2)
    (클라우드의 발전 단계 - 가트너)

☁️ 클라우드 서비스의 형태 ☁️

클라우드는 운용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클라우드의 인프라가 어디에 위치해있고 어떻게 운영하는지에 따라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공공 개방형 클라우드로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클라우드 서비스의 자원을 특정 기업 및 기관 내부에 저장하여 내부자에게 제한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퍼블릭과 프라이빗 클라우드 두 가지를 조합해 사용하는 형태로 퍼블릭 클라우드의 유연성, 경제성, 신속성과 물리 서버의 보안성, 안정성 등을 함께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온프레미스(On-premise) : 소프트웨어 등 솔루션을 클라우드같이 원격 환경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식

☁️ 클라우드의 종류 ☁️

클라우드는 서비스 제공자가 지원하는 IT 자원의 종류에 따라 세 가지, 즉 IaaS, PaaS, SaaS로 분류할 수 있다.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고객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 ex) Notion, Dropbox, Figma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 네트워크, OS스토리지, GPU 등 물리적 자원 제공
    • ex) AWS, Azure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개발을 돕는 플랫폼
    • OS, 미들웨어, 런타임과 같은 소프트웨어 작성을 위한 플랫폼을 가상화하여 제공
    • ex) AWS elastic, Google App Engine

☁️ Why Cloud? ☁️

그렇다면 클라우드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클라우드 사용으로 얻는 장점들은 다음과 같다.

💡 비용 절감
- 데브옵스,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등 기회 비용 최적화, 개발 비용 절감

💡 빠른 Deploy
- 기존 레거시 인프라에 비해 빠른 인프라 구성 시간

💡 글로벌 진출 시 용이
- 글로벌 리전 활용을 통해 글로벌 진출시 보다 빠르고 손쉽게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음

💡 보안
- 인프라에 대한 보안은 클라우드 공급 업체에 위임

profile
개발 공부하는 케이트입니다.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7월 26일

감사합니다. 이런 정보를 나눠주셔서 좋아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