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 📍 프로세스: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를 의미. 프로세스는 자신만의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한 프로세스의 메모리는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보호받는다. 📌 프로세스의 정보: ⭐️ 프로세스 메모리 ⭐️ 코드, 현재 활동, 스택, 힙 등을 포함합니다. >### 프로세스 메모리 Code : 코드 자체를 구성하는 메모리 영역...
📍 멀티프로세스(Multiprocessing): 멀티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 프로세스들은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프로세스 간 통신) 메커니즘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 멀티프로세스의 장점 프로세스는 각자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지므로, 하나의 프로세스가 다운되더라도 다른 프로세스에 영...
출처 📌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실행됨 →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메모리에 '프로세스 주소 공간'이 할당됨 프로세스 주소 공간에는 코드, 데이터, 스택으로 이루어져 있다. >- 코드 Segment( text ) : 프로그램 소스 코드 저장 코드 영역(Code Section): 이 영역은 실행 가능한 코드를 담고 있습니다. 프...
출처 📌 인터럽트(Interrupt) 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에 대한 우선 처리가 필요함을 CPU에게 알리는 것 지금 수행 중인 일보다 더 중요한 일(ex. 입출력, 우선 순위 연산 등)이 발생하면 그 일을 먼저 처리하고 나서 하던 일을 계속해야한다. 외부...
📌 시스템 콜, System Call >시스템 호출(system call)은 운영 체제의 커널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커널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사용자 프로그램이 디스크 파일을 접근하거나 화면에 결과를 출력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즉 사용자 프로그램이 특권 명령의 수행을 필요로 하는 경우, 운영체제에게 특권 ...
🧷 PCB & Context Switching 📌 Process Management > CPU가 프로세스가 여러개일 때, CPU 스케줄링을 통해 관리하는 것을 말함 이때, CPU는 각 프로세스들이 누군지 알아야 관리가 가능함 프로세스들의 특징을 갖고있는 것이 바로 Process Metadata Process Metadata Process I...
📌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프로세스는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즉, 독립 되어있다는 것은 다른 프로세스에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스레드는 프로세스 안에서 자원을 공유하므로 영향을 받는다) 이런 독립적 구조를 가진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것이다. 이를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이 바로 I...
📌 CPU Scheduling 1. 스케줄링 > CPU 를 잘 사용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잘 배정하기 조건 : 오버헤드 ↓ / 사용률 ↑ / 기아 현상 ↓ 목표 Batch System: 가능하면 많은 일을 수행. 시간(time) 보단 처리량(throughout)이 중요 Interactive System: 빠른 응답 시간. 적은 대기 시간...
도움1 도움2 📌 데드락이란? 교착상태를 말한다. 사진으로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다! 즉, 두개 이상의 스레드 혹은 프로세스가 서로가 가진 리소스를 기다리는 상태 📌 데드락을 만들기 위한 조건 mutual exclusion 리소스를 공유해서 사용할 수 없다. Hold and wait 프로세스가 이미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취득한(hold) 상태에서 ...
📌 Race condition 레이스 컨디션(Race condition)은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공유 데이터에 접근하고 조작하려고 시도하고, 그 작업들의 순서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프로세스 실행의 정확한 타이밍에 따라 일관성 없거나 예상치 못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레이스" 컨디션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
용어 정리! Race condition (경쟁 조건) 여러 프로세스/스레드가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조작할 때 타이밍이나 접근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상황 synchronization (동기화) 여러 프로세스/스레드를 동시에 실행해도 공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 critical section(임계 영역) 공유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
#출처 #github #gyoogle
출처 github gyoogle
출처 github gyoogle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페이지 부재 발생 → 새로운 페이지를 할당해야 함 → 현재 할당된 페이지 중 어떤 것 교체할 지 결정하는 방법 좀 더 자세하게 생각해보면? 가상 메모리는 요구 페이지 기법을 통해 필요한 페이지만 메모리에 적재하고 사용하지 않는 부분은 그대로 둠 하지만 필요한 페이지만 올려도 메모리는 결국 가득 차게 되고, 올라와있던 페이지가...
메인 메모리(main memory) > 메인 메모리는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기억 장치 > > 프로세스가 실행되려면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와야 함 주소가 할당된 일련의 바이트들로 구성되어 있음 CPU는 레지스터가 지시하는대로 메모리에 접근하여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를 가져옴 명령어 수행 시 메모리에 필요한 데이터가 없으면 해당 데이터를 우선 ...
메모리 과할당(over allocating) > 실제 메모리의 사이즈보다 더 큰 사이즈의 메모리를 프로세스에 할당한 상황 페이지 기법과 같은 메모리 관리 기법은 사용자가 눈치 채지 못하도록 눈속임을 통해 메모리를 할당해줌 (가상 메모리를 이용해서) 과할당 상황에 대해서 사용자를 속인 것을 들킬만한 상황이 존재함 프로세스 실행 도중 페이지 폴트 발생 ...
운영체제에서 도움 받은 분 파일 시스템(File System)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유지 및 관리하는 방법이다. 저장매체에는 수많은 파일이 있기 때문에, 이런 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특징 커널 영역에서 동작 파일 CRUD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목적 계층적 디렉터리 구조를 가짐 디스크 파티션 별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