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리눅스다] 1장 실습 환경 구축

jyleever·2023년 5월 21일
1

리눅스

목록 보기
1/1

이 책은 VMware Workstation Pro 평가판 사용
해당 평가판을 설치하면 추가로 VMware Workstation Player가 함께 설치됨
pro는 스냅숏 기능과 가상 네트워크 사용자 설정 기능 사용을 위해 사용함.

즉 실습 중에 사용할 것은 VMware Workstation Player (이하 VMware Player), 스냅숏 기능과 가상 네트워크 사용자 설정 기능을 사용할 때에는 VMware Workstation Pro

가상 머신을 만들면 VMware Player을 열었을 때 생성된 가상머신의 목록이 나타난다. 우리는 실습 중에 사용할 4대의 가상 머신(= 게스트 컴퓨터)를 만들 것

1.2 가상 머신 생성

1.2.2 가상 머신 만들기

우리가 만드는 가상머신은 *.vmdk 라는 확장명을 포함한 몇 개의 관련 파일로 존재한다. 가상머신을 생성할 때마다 각각의 가상머신은 지정한 폴더에 생성된다.

용어 정리
호스트 컴퓨터 : 진짜 컴퓨터
호스트 OS : 진짜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
게스트 컴퓨터 : VMware로 생성한 가상머신 (가짜 컴퓨터)
게스트 OS : 가상머신에 설치된 운영체제

가상머신이 저장되는 폴더 지정

가상 머신 생성
Red Hat Enterprise Linux 8 64bit

가상 하드디스크는 가상머신에게 20GB로 인식시키면서도 실제 물리 파일은 10MB짜리 하드디스크를 20GB로 속이는 효과를 내는 것
운영체제가 설치되면서 실제 공간이 필요해지면 필요한 공간만큼만 자동으로 조금씩 늘어남.

생성된 가상머신 목록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로 컴퓨터의 부품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됨.


RAM은 호스트 컴퓨터가 가진 메모리를 가상 머신과 나눠 갖게 하는 설정
예를 들어, 4GB 메모리가 장착되어있다면 이 가상머신을 부팅하는 순간(가상머신을 만든 순간이 아니라) 호스트 컴퓨터는 게스트 컴퓨터에게 2GB를 떼어주고 나머지 2GB를 사용

하드 디스크 용량을 변경하고 싶다면 20GB 짜리 하드 디스크는 remove 하고 80GB 하드디스크로 ADD
이 때 하드디스크 방식은 어차피 가상이므로 상관 없지만, 책과 동일하게 진행하기 위해 SCSI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을 선택하면, 가상의 하드디스크가 1개 파일로 관리됨. 어느 것을 사용하든 사용자 입장에서는 차이가 없고 단지 VMware가 가상 하드디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을 선택해주는 것 뿐
[Allocate all disk space now]를 선택하면 가상 하드디스크를 관리하지 않고 실제 80GB짜리 파일이 생성되는데 약간의 성능 효과가 있긴 하지만 미미하므로 별 도움이 되지 않음.
가상 하드 디스크도 파일이므로 이름을 설정하라고 되어있지만, 딱히 중요하지 않음

리눅스를 설치하다가 문제가 생겨 가상머신이 다운되고 가상의 하드디스크가 손상됐을 경우 하드디스크 제거 및 장착으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


꼭 NAT 방식인지 확인. 기본 설정인 NAT 방식을 사용해야 1대의 컴퓨터, 5개의 운영체제가 가동되는 환경처럼 4대의 가상머신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는 효과를 낼 수 있음

나머지 필요없는 장치들은 삭제. 최종 설정 화면

가상머신의 파일들

  • Server-0.vmdk : 하드디스크 파일

가상머신 부팅하기
play virtual machine 또는 play 모양 초록색 아이콘 클릭


컴퓨터에 dvd장치가 없는 경우 나오는 메시지. 그냥 no 클릭

부팅하고 나서, 현재 os가 설치되어있지 않으므로 BIOS 설정으로 가주어야 함
이 때 마우스 커서가 보이지 않는다면 ctrl + alt
마우스 커서 제어가 VMware 안의 가상머신이 가져가서 안 움직인다면, 게스트 OS에서 호스트 OS로 가져오기 위해 사용하는 단축키. 자주 사용할 기능

다시 power -> shut down guest 선택하여 가상머신 종료
가상머신에 OS 설치하는 것은 chapter 3에서 진행하고 현재는 나머지 Server(B), Client, WinClient 가상머신의 하드웨어를 생성하자.

1.4 사전 준비

1.4.1 VMware 핫 키

가상머신을 가동하면 현재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운영체제는 2개 이상이 된다. 따라서 마우스의 포커스를 호스트 OS와 게스트 OS 사이에서 이도아게 해야 함.

  • 게스트 OS로 마우스 초점을 이동하려면 가상머신 화면 안의 아무 곳이나 마우스 클릭
  • 다시 호스트 OS로 마우스 초점을 가져오려면 ctrl+alt
  • 현재 포커스가 게스트 OS에 있더라도, 게스트 OS뿐만 아니라 호스트 OS까지 영향을 미치는 ctrl + alt + del 대신에 ctrl + alt + insert 권장. -> VMware 메뉴에도 있음

1.4.2 VMware Player 종료 시 닫기 옵션

  • suspend
    기본 설정이 suspend 로 되어있음. 전원을 종료하지 않고 노트북 덮개만 닫은 상태와 비슷 -> 이 가상머신을 다시 부팅하면 멈췄던 부분부터 실행
  • powered off
    아예 전원 종료

1.4.3 전체 화면으로 사용하기

게스트 OS를 전체 화면으로 꽉 채워 사용하고 싶다면 VMware 창의 최대화 아이콘 또는 마우스 포커스를 VMware 내부로 옮긴 후 ctrl + alt + enter

1.4.4 여러 개의 가상머신을 동시에 부팅하기

VMware player는 하나의 가상머신만 부팅할 수 있다.
여러 개의 가상 머신을 동시에 부티아려면, VMware Player을 여러 개 실행한 후 각각 다른 가상머신을 부팅하면 된다.

1.4.5 네트워크 정보 파악과 변경

각각의 가상머신에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입력해보자.

정상적인 네트워킹이 이루어지려면 각 가상머신(게스트 OS)에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DNS 서버 주소라는 정보의 개념을 알고 이를 직접 입력해야 한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all 실행

여기서 나오는

IP 주소(IPv4 주소) : 192.168.XXX.3 ~ 192.168.XXX.254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게이트웨이 : 192.168.XXX.2
DNS 서버 : 192.168.XXX.2

사용할 것. (XXX 부분은 111)
pro의 스냅샷 기능이나 네트워크 설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해당 책의 네트워크 설정과 동일하게 사용할 것

이제 VMware Workstation Pro를 실행하여 변경해볼 것.

다시 cmd창에서 ipconfig /all 확인해했을 때 VMnet8 부분이 192.168.111.1로 보이면 정상 설정

네트워크 환경 상세

chapter 3에서 입력할 것

  1. 호스트 OS에는 192.168.111.1의 가상 IP가 자동으로 할당되어있음
  2. 호스트 OS는 실제로 사용하는 별도의 IP 주소가 존재
  3. 192.168.111.2는 게이트웨이, DNS 서버라는 2가지 역할을 모두 하는 가상 장치의 IP 주소
    192.168.111.254는 DHCP 서버 역할을 하는 가상의 주소
  4. 이 책에서는 Server와 Server(B) 가상머신에 고정 IP 할당
    각각 맨 뒤의 주소 값을 100, 200으로 할당
  5. Client와 WinClient 가상머신은 자동으로 ip를 할당받도록 설정
    당연히 가상 DHCP 서버(192.168.111.254)에서 할당 받음

1.4.6 호스트 OS와 게스트 OS 사이의 파일 전송법

호스트 OS에 있는 파일을 게스트 OS로 복사할 일이 발생할 수 있음
가장 간편한 방법은 , 호스트 OS에서 게스트 OS로 보낼 파일을 ISO 파일로 만든 후, 게스트 OS에 CD/DVD 를 넣어주는 효과를 사용하는 방법

  • VMware는 물리적인 CD/DVD를 읽을 수도 있지만, ISO 파일도 CD/DVD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
    (.iso 파일은 DVD나 CD의 내용을 하나의 파일로 제작해놓은 파일.)

Free ISO Creator 라는 프리웨어를 다운 받아서, 파일을 ISO 파일로 변환한다.
그 후 가상머신을 가동하여, [Player] -> [Removable Devices] -> [CD/DVD(SATA)] -> [Settings] 선택
이 때 주의할 점은, [Device Status] 부분에 [Connected] 가 체크되어있어야 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