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생성한 EC2로 접속해보자. 맥에서는 터미널, 윈도우는 별도의 클라이언트인 putty 를 설치하여 ssh에 접속해보자.
putty는 pem키로 사용이 안 되며 pem키를 ppk 파일로 변환해야 한다. puttygen은 이 과정을 진행해주는 클라이언트이다.
pem파일을 불러와서 ppk파일로 변환 (Save private key)
putty.exe 파일 실행하여 각 항목 등록
Connection -> SSH -> Auth -> ppk 파일 선택
Session -> Saved Sessions에 현재 설정 저장
open 하면 SSH 접속 알림
SSH 접속 완료
sudo yum install -y java-1.8.0-openjdk-devel.x86_64
sudo /usr/sbin/alternatvies --config java
sudo rm /etc/localtime
sudo ln -s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여러 서버를 관리 중일 경우 IP만으로 어떤 서비스의 서버인지 확인이 어려움
각 서버가 어느 서비스인지 표현하기 위해 hostname 변경
(나는 Amazon Linux 2 AMI)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변경할 호스트 이름.localdomain
그 후 'sudo reboot' 명령어를 통해 리부트하면 되지만 나는 해당 명령어가 먹히지 않아서 그냥 껐다 켰다.
hostname변경 완료
이제 호스트 주소를 찾을 때 가장 먼저 검색해보는 /etc/hosts에 변경한 hostname을 등록한다.
sudo vim /etc/hosts
방금 등록한 Hostname을 등록한다.
127.0.0.1 ~ .localdomain4 서버 이름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한다.
curl 등록한 호스트 이름
잘 등록했다면 다음과 같이 80 포트로 접근이 안 된다는 에러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