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오 드디어 알고리즘이 끝났다! 굉장히 길고 길었다!! 알고리즘을 풀땐 내 머리가 안따라줘서 그런지 문제가 잘 풀리지 않아 재미가 없었는데 네트워크 부분을 들어오니 재밌다!! 재밌을리가 없는데 이해가 되니까 재밌다!! 신나서 회고 적는중..
스프링 파트가 어렵다는 소리를 들어서 혹시나 진도를 따라가지 못할까 라는 걱정이 들어서 조금 이라도 예습을 하고자 인강을 구매했다! 내가 세상에서 제일 싫어하는 것이 민폐 끼치는 일이라 혹시라도 나중에 프로젝트를 할때 무임승차하는 일이 벌어지지 않고 무조건 1인분을 하자라는 취지기도 하다.
지켜질지 모르겠지만 하루 루틴 9-18 부트캠프 18-19 저녁과 휴식 19-20 복습 20-23 스프링공부를 해볼 것 이다.
애플리케이션
장점
단점
장점
단점
네트워크를 만드는 기술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이 통하는 네트워크에서 어떤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에 대한 규약
TCP와 UDP는 TCP/IP 4계층 모델을 기준으로 IP 프로토콜의 계층인 인터넷 계층의 상위에서 동작, 전송계층에 속하는 TCP와 UDP는 2계층에서 동작하는 IP 와 4계층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http 등)을 중개하는 역할
TCP는 통신 신뢰성을 높이는 실현하는 기능이 구현, UDP에는 신뢰성을 높이는 기능이 없는 대신 보다 높은 속도와 효율성을 제공.
포트번호는 대상 IP 기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connection endpoint)을 특정하는 번호
ex) http 80 https 443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은 웹에 게시된 어떤 자원을 찾기 위한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메카니즘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로,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경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웹을 구성하는 기술
웹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와 서비스 제공쪽(서버)으로 나뉘고, 이러한 구조를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라고 부른다.
SSR(Server Side Rendering) - 말 그대로 서버쪽에서 렌더링 준비를 끝마친 상태로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방식
CSR(Client Side Rendering) - 말 그대로 SSR과 달리 렌더링이 클라이언트 쪽에서 일어난다.
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특정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가 교환되는 방식
요청(Requests) , 응답(Responses) 두가지 유형이 있다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