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는 React.lazy와 함께 사용 되었으나, 현재는 이외에도 선언적으로, 데이터 비동기 렌더링 처리를 도와준다.Suspense 로 감싸여진 컴포넌트가 비동기 데이터 처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비동기 데이터 처리를 하고 있는 컴포넌트의 코드가 짧아진다. \
외부에서 private 네트워크 내에 생성한 vm에 접속 하기 위해서 floating ip 및 주소를 할당하고 해당 vm에 nginx를 설치 후, 웹페이지 를 수정private 네트워크 생성1\. 네트워크탭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 생성2\. 네트워크 이름 private
안녕하세요 본 영상은 OPEN VPN 접속 이후 OPENSTACK 에서 생성한 VM 에 PUTTY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에 대한 영상PUTTY 는 서버, VM에 PC 를 통해 원격으로 접속 할 때 운영체제 에서도 서버 OR VM 에 접속 할 수 있도록 한다. (SSH 접
클래스101 의 메인페이지를 클론 코딩하는 챌린지를 하였다. 처음 봤을 때는, 서버와의 통신 및 다른 요구조건 없이 퍼블리싱과 반응형 디자인 위주로 하면 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 하였다. 하지 세분화된 반응형 디자인, 디자인 시스템 기반으로
이번에는 실제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App : 전체 컴포넌트 및 Router 등을 제어하는 역할Main : <main> Router에 따라서 main 에 views 중 1가지 Component 가 들어옴Nav : <nav> 클릭시 이동Vi
영상에서는 router 함수에서 직접 routes 들을 설정해서 관리를 했는데, 직접 router 파일에서 관리를 하는 것보다 Component들을 관리하는 app.js 에서 router,routes 등을 설정해줘서 좀더 관리에 용이하도록 수정 하였다.potential
문제설명 S의 길이가 n이라고 할 때, 0부터 N - 1 까지 의 문자열 이 가장 긴 문자열이다. 즉, 0부터 N-1, N-2, N-3, ... , 0 까지, 1부터 N-1, N-2, ... , 1 까지 ⋯⋯ N부터 N까지 이런 식으로 반복하며, 각각의 문자열이 펠린
문제설명가장 먼 노드란, 자신밑에 하위노드가 없는 노드가 아니라 1 에서 가장 먼 노드 를 의미한다.각 노드가 1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알면 쉬움.BFS 를 사용해서 각 노드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자. (현재 노드까지의 거리 = 이전 노드의 거리 + 1)
Graph에서 원하는 노드 start node 에서, 특정 노드 target node 까지 가는 최소비용 찾는 알고리즘우선순위 큐우선순위 큐를 이용하면 가장 작은 비용의 값만 pop() 할 수 있다.이를 이용해서 작은 비용의 값만을 비교해서 traget node 까지
return 해야하는 수: 정확하게 순위를 매길 수 있는 선수의 수\-> 정확하게 순위를 매길 수 있을 경우를 알아 내야 한다.입출력 예 에서 알 수 있는 것 2가지어떤 선수 A가 B를 이겼으면 B가 이긴 선수들은 A가 이긴다.어떤 선수 A가 C한테 졌으면 C를 이긴
N개의 여왕을 N X N 체스판에 잡아 먹히지 않도록 놓는 방법 의 수를 찾기. (여왕은 대각선, 같은행, 같은열에 있는 것들을 먹어 치운다)N개의 여왕을 각각 N개의 행에 자리를 준다.2번째 열부터 대각선에 여왕이 있는지, 같은열에 여왕이 있는지 검사한다.재귀호출을
가운데 기둥을 이용해서 왼쪽 기둥에 놓인 크기가 다른 원판을 오른쪽 기둥으로 옮기는 문제,이 때 원판은 한번에 한 개씩만 옮길 수 있으며, 작은 원판 위에 큰 원판이 놓일 수 없다.재귀 풀이를 이용하여 푸는 문제중에서 가장 유명한 문제.그러면 어떻게?일반화를 하기 위해
Gatsby JS를 간단히 말하자면 정적페이지이다.그래서 동적으로 Javascript 코드로 CSS를 바꾸는 방법은 정적페이지인 Gatsby JS에는 CRA로 만드는 웹페이지와 다르게 해줘야한다.작성중Styled Component에서 제공하는 Theme(직접 커스텀)
최대 공약수란, 숫자 a, b가 주어졌을 떄, 공통되는 약수 중에서 최대 값을 의미한다.찾지 않아도 되는 약수들 까지 구해야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다.유클리드 호제법이란, 숫자 a, b가 있을 때, a를 b로 나눈 나머지와 b 의최대 공약수 는 a 와 b 의 최대 공
소수찾기 알고리즘 소수란,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숫자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숫자를 의미한다. (즉, 약수가 1, 자기자신 을 제외하고는 없음을 의미) 소수는 어떻게 찾을까? 효율적이지 못한 방법 1. 2부터 값의 이전 값 까지 숫자를 1 씩 올려가며 나눠 떨
앞부분의 행렬의 열과 뒷부분 행렬의 행의 갯수가 같을 때, 앞부분 행렬의 행과 뒷부분의 행렬의 열을 각각 행, 열로 갖는 새로운 행렬을 갖는 것이다.(A x M) X (M x B) 는 A x B 의 행렬이 만들어진다. A x B 의 각각의 요소는, A x M 행렬의 행
이 문제는 아무리 풀어도 효율성이 떨어졌다. 그 이유를 알기 전에 내가 접근했던 방법에 대해서 말하자면,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이 숫자 1개로 표현하는 방법,숫자를 2개로 표현하는 방법 ⋯ 숫자 N개로 표현 하는 방법이 있다고 생각했다.숫자 N개를 1부터 계속해서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