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le 빌드 전 설치 과정

jv·2023년 6월 30일
0

'gradlew wrapper'로 만들어진 프로젝트를 clone하는 경우와 달리, local에서 gradle 프로젝트 생성을 시작하려면 먼저 gradle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다.

  1. gradle 버전 선택 - 의존성 체크: 사용하려는 의존성과의 호환성 이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이 확실한 플러그인 중 gradle 특정 넘버 이상의 버전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플러그인과의 호환성으로 gradle 6.8이상이 필요할 수 있다. 미리 확인한다.

  1. gradle 파일을 다운받는다.
    Binary-only와 Complete(checksums) 중 선택: 체크섬 파일을 다루는 것은 선택사항이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Binary-only 옵션을 선택한다고 하여 이걸 선택했다.

다운받은 것은 압축폴더이고 압축을 해제하면 파일들이 들어있다.

  1. gradle home 폴더를 원하는 위치에 직접 만든다.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이름으로 직접 만들어야 한다. (이후 자동으로 생성되는 C:/사용자/내이름/.gradle/ 폴더 안에도 bin폴더가 있는데 환경 변수를 여기로 설정해도 되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여기에서의 gradle 설치는 한 사용자가 모든 프로젝트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gradle 버전을 설치하는 경우이다. (여러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또는 프로젝트마다 다른 버전의 gradle을 사용하려는 경우 방법이 다를 수 있다)

C:/, C:/Program Files/ 등 임의로 위치를 정할 수 있다. 폴더 이름도 gradle 또는 gradle-버전넘버 등 어떻게 해도 문제가 없으므로, 다운받아 압축 해제한 폴더를 그대로 원하는 위치에 옮겨서 home 폴더로 써도 된다. 중요한 것은 환경 변수 설정이다.

  1. 환경 변수 설정

    • 윈도우 탐색기에서 '내 컴퓨터' 우클릭.
    • '속성' 선택.
    • '고급 시스템 설정' 클릭.
    • '환경 변수' 클릭.
    • '시스템 변수' 클릭. 시스템 변수는 시스템 전역에 영향을 준다. 지금은 목적에 적합.
    • 변수 중 'PATH'를 선택. 여러 가지 경로가 등록되어 있다.
    • 직접 만든 gradle home의 경로에 /bin/까지 추가해서 등록. 이것으로 설치 완료.
  2. 여기까지 진행 후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콘솔에서 gradle -v(버전확인)을 입력한다.

gradle 파일이 위치한 home 폴더와 환경 변수에 경로 설정이 정확히 된 경우 다운로드 받은 버전 넘버를 확인할 수 있고 그 전까진 'gradle 명령어가 유효하지 않다'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gradle -v로 버전이 확인된다면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설치가 되었다면 빌드를 하기 위한 다음 순서로 gradle 초기화를 할 수 있다.

출처: ChatGpt
profile
백엔드 개발자가 되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