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lew wrapper'로 만들어진 프로젝트를 clone하는 경우와 달리, local에서 gradle 프로젝트 생성을 시작하려면 먼저 gradle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특정 플러그인과의 호환성으로 gradle 6.8이상이 필요할 수 있다. 미리 확인한다.
다운받은 것은 압축폴더이고 압축을 해제하면 파일들이 들어있다.
여기에서의 gradle 설치는 한 사용자가 모든 프로젝트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gradle 버전을 설치하는 경우이다. (여러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또는 프로젝트마다 다른 버전의 gradle을 사용하려는 경우 방법이 다를 수 있다)
C:/, C:/Program Files/ 등 임의로 위치를 정할 수 있다. 폴더 이름도 gradle 또는 gradle-버전넘버 등 어떻게 해도 문제가 없으므로, 다운받아 압축 해제한 폴더를 그대로 원하는 위치에 옮겨서 home 폴더로 써도 된다. 중요한 것은 환경 변수 설정이다.
환경 변수 설정
여기까지 진행 후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콘솔에서 gradle -v(버전확인)을 입력한다.
gradle 파일이 위치한 home 폴더와 환경 변수에 경로 설정이 정확히 된 경우 다운로드 받은 버전 넘버를 확인할 수 있고 그 전까진 'gradle 명령어가 유효하지 않다'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gradle -v로 버전이 확인된다면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설치가 되었다면 빌드를 하기 위한 다음 순서로 gradle 초기화를 할 수 있다.
출처: ChatG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