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소에 질문을 잘 받아주기로 유명한 중앙대학교의 JH 교수님은 학생들로부터 재귀함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많은 질문을 받아왔다.매번 질문을 잘 받아주셨던 JH 교수님이지만 그는 중앙대학교가 자신과 맞는가에 대한 고민을 항상 해왔다.중앙대학교와 자신의 길이 맞지 않다고
회사에서 어떤 코드를 만들었다면, 이를 바로 서비스할 수 없음.QA 팀을 통해서 테스트가 통과되어야 실제 서비스 되도록 올라갈 수 있음.근데.. 매번 모든 기능을 일일히 사용하기에는 번거로움.그래서! QA팀이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자동화 시켜주는게 selenium.
os: 컴퓨터 파일 시스템을 다루는 패키지: 디렉토리 생성, 파일 삭제/복사/이동 등등디렉터리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코드: 여기에는 이미지 url이 들어있음(image link)서버로 이 이미지 url을 request 하면 이미지 파일을 response 받을 수 있음r
동적 페이지는 JSON형식(str)로 받으며, 이를 list나 dict로 변환하는게 쉬웠음.그러나 정적 페이지는 HTML 형식으로 받으며, 이를 list나 dict로 변환하는건 쉽지 않음.그래서, BeautifulSoup과 CSS Selector을 이용하여 html을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서비스에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식적인 방법으로, api를 이용한다.api 이용 수집이 가능하다면, 이 방법을 사용하는게 더 좋다.네이버 디벨로퍼: https://developers.naver.com
동 이름원룸의 위치원룸 매물 정보: '동 이름'을 넣으면 그 동의 원룸 정보를 추출하고 싶다. 3번의 request가 필요함만약, url이 깨져 보인다면..: 인코딩 되어있는걸 디코딩 해서 보여주는 사이트: https://meyerweb.com/eric/too
: 여러 유사한 용어들이 존재crawling: 데이터 수집, 분류하는 작업scraping: 데이터 수집하는 작업spider or web crawler: 컴퓨터가 자동으로 데이터 수집bot: 자동으로 데이터 수집하는 소프트웨어정적페이지: 페이지의 데이터가 변경될 때, U
출처: : 파이썬에서 그래프를 그릴때 유용한 시각화 라이브러리plt.plot()plt.plot('date', 'item1', data = my_data): 옵션 이름 = 내 데이터프레임 명. 권장사항plt.plot(my_data'date', my_data'item1')
: DataFrame을 사용하기 위해서!: 데이터프레임에서 하나의 열을 떼어낸 형태로, 1차원 구조: 하나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들의 집합pd.DataFrame: 데이터프레임 만들기pd.read_csv()df.shape: np.shape과 기능이 같을 뿐, 같은 함수는
데이터 분석시에는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곤 하는데, 이때 list는 느리다!배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싶다.so, Numerical Python!불러오자주의할 점: 축은 0부터 시작한다는거~!
: 분명 아이디어는 간단한데, 의외로 이해하기까지 꽤 걸렸다.전형적인 이진 탐색 알고리즘에서 중간값을 공유기 사이의 간격으로 잡는다.중간값을 조정한다.설치된 공유기 수가 적다면, 간격을 줄인다.설치된 공유기 수가 많다면, 간격을 늘린다.
문제 나의 풀이 1. 맞왜틀, 아니 맞왜에러..? 반레/테스트 케이스 넣어보면 값이 잘 나오는데, 왜 에러가 뜰까?
출처핸즈온 머신러닝2주피터 노트북 github핸즈온 머신러닝2 3장 pdf되도록이면 책의 내용과 코드를 그대로 옮기기 보다는 요약과 보충설명!한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를 알면 어느 방향으로 점을 움직여야 함수값이 증가/감소하는지 알 수 있다.미분값을 빼면 경사하강밥(gr
아이디어: 2, 3, 5 가 각각 얼마나 곱해지느냐로 숫자가 결정되니까, 이전 수에다가 곱하는걸 늘려나가는 식으로 하자.였는데..: 답지와 99퍼 유사. 근데 실패함. why??성공: for i in range(1, n + 1): -> for i in rang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