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프로토콜
IPV4의 경우 8비트씩 4옥텟으로 32비트 구성이다.
범위 : 1.0.0.0 ~ 126.255.255.255
IP 시작 비트 : 0
국가나 대형 네트워크에서 사용
cf)127은 규칙적으로 제외
범위 : 128.0.0.0 ~ 191.255.255.255
IP 시작 비트 : 10
중대형 네트워크에서 사용
범위 : 192.0.0.0 ~ 223.255.255.255
IP 시작 비트 : 110
소형 네트워크에서 사용
범위 : 224.0.0.0 ~ 230.255.255.255
IP 시작 비트 : 1110
IP 멀티캐스트 기능 수행을 위한 주소
IP 주소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만든 차세대 IP 체계
128비트 체계의 16진수로 표기하며, 4개의 16진수는 :으로 구분
보안, 인증, 라벨링, 비밀성 등 제공. 라우터 부담이 적고 옵션이 다양하다.
한 개 노드에서 단일 목적지 지정
동시에 복수의 인터페이스에 주소 부여 가능.
여러 개의 노드가 수신할 수 있는 특정 송출지 번지를 지닌 형대. 해당 주소로 보내진 패킷은 그룹 노드의 모든 노드들에게 전달.
IP 주소의 공간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브넷 개념 이용. IP주소 부분에서 network부분과 host 부분을 구분해주는 역할.
맨 왼쪽부터 연속적인 1 부분이 네트워크부분이고 나머지가 호스트 부분이다.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하며 32비트 2진수 구성한다.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뒤에 00000부분이 호스트 부분이다. 2^5 = 32이므로 위와 같이 구성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패킷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라우터끼리 패킷을 교환하는 과정
효율적인 전송로를 선택해서 전송을 수행
관리자가 설정한 경로를 고정적으로 사용하며 경로가 고정되어 잇다.
네트워크 구조가 간단하며 환경 변화가 적은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네트워크 상황 변화에 따라 인접 라우터끼리 경로 정보를 교환하여 최적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프로토콜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여 대부분의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통과하는 라우터 수가 적어 거리가 짧은 쪽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프로토콜
주요 프로토콜 : RIP, BGP..
거리벡터 방식 라우팅 프로토콜의 하나로, 라우터의 대수(Hop의 수)에 따라 최단 경로를 결정
계산할 수 있는 최대 홉은 15이므로 홉의 수가 16이 넘으면 패킷을 소멸시키고 새로운 패킷을 기다림
30초 주기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므로 중 대규모의 네트워크에는 적합하지 않다.
라우터와 라우터를 연결하는 Link 상태에 따라 효율적이고 빠르게 도착하는 쪽(비용이 적게 드는)으로 경로를 설정
대역폭, 지연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주요 프로토콜 : OSPF
링크 상태 방식 라우팅의 하나로 네트워크 상태, 지연 발생, 홉 카운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경로를 결정. RIP의 단점을 보완해서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데이터 부하가 적기 때문에 대규모 네트워크에도 적합하다.
내부 망에서 사용하는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하는 것.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사람이 공유해서 IP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외부에서 사설 망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