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09(월) SSR(Server-side rendering) 서버에서 페이지의 내용을 그려 브라우저로 던져주기 때문에 검색 엔진 최적화와 빠른 페이지 렌더링이 큰 장점이고, 이러한 장점 덕분에 사용자 입장에서 화면이 빨리 로딩이 된다. CSR(Client-side rendering) 자바스크립트에 데이터를 포함해서 보낸 후, 클라이언트...
05.16 🎈 answer라는 vector를 뒤집는다 🎈제곱근을 구하는 함수 🎈최고값, 최소값을 찾는 함수 🎈line 2 : 제일 작은 수 제거 05.17 알고리즘을 풀면서 헷갈렸던 것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이 표를 보면서 알아보자 🎈대문자는 소문자보다 아스키코드 값이 낮다. 🎈이렇게 string 변수에 index로 접근하면서 -4...
05.23 MVC/객체 바인딩 방법 05.24 스프링 시큐리티 접근 불가 설정 중 @secured 어노테이션 활성화하는 코드이다. domain - WebSecurityConfig 안에 선언. 05.25 Mock testcode 중 Compare With Clipboard - 코드 비교 05.26 MokcKito형님을 배웠다.
05.30 https://dev-coco.tistory.com/126 로그인 확인 - 별도의 url 설정이 없다면 /user/login 으로 타고 들어가는데 실패 시 메시지를 줘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failhandler를 등록을 해줘야한다. 사용법을 조금 더 자세하게 숙지해야한다. https://beemiel.tistory.com/11 .exceptio...
06.06 두 컬럼을 묶어서 UNIQUE 하게 만들어 주는 코드. 각 테이블 별로 새로운 아이디 부여하기. Sequense 전략을 사용하면 된다. 06.07 팀원 분들 다 잘하시지만 그 중 한 분이 좋은 것을 알려주셨다. OrderFood에서 OrderFoodDto로 바뀌는 과정이다. 이것을 stream()으로 하면 보다 직관적이고 가독성이 좋게 바...
06.13 수정일자 이슈 build.gralde에서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이 친구를 추가해주면 코드를 변경한 후 Build -> Recompile 을 해주면 서버를 껐다 킬 필요가 없다! 쿼리 파라미터 로그 남기기 06.15 엔티티 클래스 Setter를 가급적...
06.20 @Quer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봤다. 재미있다. 06.21 여기 FE 분들이 다들 능력자라서 그런지 기능구현이 빠르신 거 같다. 파이팅 06.22 HeartCheck안에 있는 userId가 현재 로그인한 userId와 같은게 하나라도 나오면 바로 반환해주는 코드 06.23 오늘의 집 클론코딩 완성!! 가벼운 기능들만 했지만 나에겐 뜻깊은 ...
06.27 06.28 역할 분담을 하고 본격적으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내가 맡은 부분이 비교적 쉬운 것 같아서 최대한 빨리하고 팀원분들께 작은 도움이라도 드릴 예정이다. 알고리즘과 개인공부, 면접준비, 운동까지 해야하는데 시간을 어떻게 써야할 지 모르겠다. * 로그 찍는 법 * 06.29 여기 1. @PageableDefault를 사용 @Page...
07.04 키워드 - @Valid, @NotEmpty, BindingResult, result.hasErrors() 참고 - https://jj-yi.tistory.com/23 ELK 를 해보았다. 실패했지만 시간을 내서 계속 해볼 예정이다. 어떤 역할을 하는지 E, L, K 각각 무슨 의미인지도 정리할 것이다. 알고리즘 시작!! 코테 공부중 파일 ...
07.11~07.12 이것저것 여러가지 했지만 가장 큰건 CI/CD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진짜 도커+젠킨스부터 시작해서 엄청난 일들이 있었는데 결국 GithubAction을 사용하긴 했지만 끝이 났다! [여기](https://velog.io/@junsj119/CICDgithub-Action 07.13 Dto를 Jpa Query로 반환하는 방법 Sl...
07.18 오늘은 로그를 수집할 수 있는 sentry와 nginx로 https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ELK에서 sentry로 갈아탄 가장 큰 이유는 AWS에서 제공하는 Amazon opensearch service를 사용했는데 이게 요금이 많이 부과되어있는 것이다. 그래서 바꾼것도 있고, 진입장벽이 낮기도 하고 그동안 도전을 몇번 했는데 좀...
07.25, 07.26 통계에 필요한 모든 api를 정리하고 추후 계획을 세워보는 시간을 가졌다. Map 자료구조와 LocalDate랑 친해지는 시간이었던 것 같다. 순서가 없는 HashMap을 사용하는 대신 순서가 중요한 LinkedHashMap을 사용하였다. 점점 더 깊이있는 공부법을 찾고 나에게 적용을 시켜야겠다. 07.27 JMeter 를 사용...
08.01 서비스를 배포 후 유저 피드백을 받았다. 피드백 받은 곳을 수정하면서 앞으로는 더욱 꼼꼼히 체크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Querydsl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를 하였다. 70% 정도 들었고, 하루에 많이는 아니더라도 조금씩 들으면서 정리하는 중이다! 내일은 실무 활용에 관한 쪽을 공부 할 예정이다! 선택 정렬과, 버블정렬 구현을 해보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