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스프링)이 응답 데이터를 만드는 방법은 3가지다.
정적 리소스
src/main/resources/statichttp://localhost:8080/a/b.html의 url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src/main/resources/static/a/b.html을 제공한다.뷰 템플릿
src/main/resources/templates컨트롤러의 메소드 반환 타입에 따른 응답 데이터
/a/b이면 /templates/a/b.html을 실행.response.getWriter().write("ok")@ResponseStatus(HttpStatus.OK)를 사용해 응답 코드를 설정할 수 있지만 응답 코드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응답 코드를 동적으로 반환할 필요가 있으면 ResponseEntity를 사용해 응답 코드를 지정해주면 된다.@RestController@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 안에 @ResponseBody가 있다.@RestController을 클래스에 붙히면 모든 메서드에 @ResponseBody가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