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문은 if() 괄호안에 조건식을 통해 true를 통해 출력, false일경우 if문 탈출
let a = 1
if (a === 1) {
console.log('정답');
}
a 변수에 숫자 1을 할당하고 if문에 a는 1과 같다라고 식을 지정해놨기에 정답 출력
else if문은 a가 거짓일경우 발동
if (a > 3) {
console.log('정답');
} else if (a < 3) {
console.log('오답');
}
첫번째 콘솔은 a가 3보다 클경우 정답 출력
두번째 콘솔은 a가 3보다 작을경우 오답 출력
if문과 동일하나 shitch문으로 대체가능하며 가독성이 더좋다
let a = 5
switch (a) {
case 1:
console.log('오답');
break;
case 2:
console.log('오답');
break;
case 5:
console.log('정답');
break;
default:
console.log('무엇을 할려고 하시는지?');
break;
}
a는 숫자 5를 할당하고 switch문으로 조건식을 실행
첫번째 케이스는 숫자 1이기에 오답 출력
두번째 케이스는 숫자 2이기에 오답 출력
세번째 케이스는 숫자 5이기에 정답 출력
마지막은 전혀 다른경우엔 문자열 콘솔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