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는 싱글스레드 논블로킹(I/O) 이다. 기본적으로 스레드와 프로세스개념을 안다는 가정하에, 우리는 싱글스레드라면 특정 일(job)을 하고있을때에 다른일을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데 Nodejs 는 어떻게 하나의 스레드로 I/O 가 발생했을때 비동기적
이전포스팅에 이어서 웹 생태계를 파악하는 포스트입니다. > V8 엔진이 어떻게 일을 하는지 기록을 남기려고 한다. 한번 읽어봤지만 내용이 간단하지않아서 나중에 또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드는것이 목적이다. 로고가 가슴이 웅장해진다.. Github Mirror : http
내가 주로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 구동과정을 이해하면서, 자료를 찾아보던중, WebAssembly 기술을 접하게 되었다.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자바스크립트와 차이점은 어떤것인지 알아보고 싶어졌다.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와 웹어셈블리 구동의 차이점을 보는 포스팅이다. Web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써 웹펙을 모르면 간첩이다. (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 ) 여러가지 모듈들을 원할하게 쓰려면 웹펙 써야한다. ###그런 웹펙을 쓰지않고 웹펙 설정을 할수있다면? 내가 쓰고도 이상한 말이라고 느껴지긴하는데 이걸 가능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르 찾았다. h
오늘은 나의 여지껏 개발했던 기록을 남겨볼까 한다. > 나는 게임사 취업 -> 게임사 이직 -> 앱/웹 이직 -> 웹 서비스사 이직 이렇게 회사를 다녔다. 1. 게임회사 내 첫 회사는 이노스파크 라는 게임 개발 회사였다. 정식으로 입사한 첫 회사이며, 가장 기억에
자바스크립트에는 크게 원시형 (primitive type), 객체형 (object)이 있다.보통 개발자들이 개발할때에는 대게 객체를 상당 수 사용한다.이 객체는 함수를 포함하거나, 다양한 변수들을 어느정도의 제약만 지켜주면 넣을수 있어서객체 없이는 프로그래밍이 안될정도
https://www.npmjs.com/package/node-cron기본적인 cronjob 설정 방법은 알고있어야 좋다.매주 일요일 자정에 운영하는 서비스에 사용자들에게 일괄적으로 메일보내주는 이벤트를 만든다고 쳤을때, 아래처럼 하면된다.
winston logger > https://www.npmjs.com/package/winston : logging library https://www.npmjs.com/package/p-queue : promise callstack management winston
문서관리를 서비스하는 입장에서 엑셀이라는 도구는 필수였다. 그래서 서비스에서 엑셀을 Import/Export 하는 것을 작업했고, 나중에 또 삽질하지 않기위해 혹은 누군가 삽질하지말라고 작성 해본다. https://github.com/exceljs/exceljs -
https://github.com/sarink/react-file-drop/blob/master/file-drop/src/FileDrop.tsx라이브러리를 만든 코드를 살펴보니 이벤트 리스너와 state 만으로 만든라이브러리보다 툴에 가까워보이고, 큰문제가 없
오늘은 unzip in folder 함수를 만든 기록을 작성해보려 한다.migration 발단은 이렇다??? : OO님 특정문서들을 시스템에 안착시켜야 하는데, window server 에 폴더 에 정리되있어요!그거 다 마이그레이션 해야해요!솔직히 귀찮고 그냥 손수 넣
여러 문서를 다루는 회사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문서를 import/export 하는 과정이 많아졌다. 그런 중에 WYSIWYG Editor 도 지원을 했는데, 그러다보니 당연하게도 보이는걸 출력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해오더라..
매우 하드한 라이브러리라 기록도 하드하니 주의 회사에서 Telerik 컴포넌트를 사용해보며 특이했던, 어려웠던 케이스를 작성해봅니다. WebEditor 사용시 한글 입력 이슈. telerik은 ProseMirror 라는 에디터 라이브러리가 사용되고있다 WebEdi
내 첫번째 일기장. > 앞으로의 계획 문제 해결의 히스토리를 작성. Web, App, Game 장르 불문하고 작성. 간단하더라도 꼭 필요한 내용이면 작성. 본론 위 코드는 ts(typescript) 사용시 nodemon 과 함께 사용하려 할때 이를 실행파일로 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