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Localhost가 아닌 리눅스 서버에 띄워보고 싶어
아무런 지식도 없이 맨땅에 헤딩으로 AWS EC2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해 볼까한다.
준비물 : AWS 계정 , 기존의 Localhost에서 문제없이 돌아가는 프로젝트
우선 계정이 없다면 먼저 링크를 눌러서 AWS회원가입을 하자.
일단 AWS Management Console로 이동하라고 하니까 무지성으로 따라가보자.
못찾겠다면 아래와 같이 메인에서 우상단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 창이 뜰것이다.
루트 사용자
에 체크를 하고 가입한 이메일 /패스워드로 로그인해주자.
EC2를 못찾겠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검색창에 입력해서 접속할 수 있다.
접속후 아래 화면처럼 좌측에 인스턴스 안의 인스턴스 탭을 눌러주면 아래화면처럼 인스턴스 창이 뜬다.
여기서부턴 아래 순서대로 예시화면을 따라 선택해주자.
1)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 새로운 인스턴스 생성하기
2) 이름 및 태그
원하는 이름으로 웹 서버 이름을 입력
3)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Quick Start에서 아마존 리눅스 선택
Amazon Machine Image는 기본으로 잡혀있는 프리티어로 사용가능한 HVM 사용
위와 같이 우분투가 아닌 아마존 리눅스에 체크후 AMI는 기본으로 설정되어있는
프리 티어로 사용가능한 HVM 모델으로 잡아줄것!
4) 인스턴스는 프리티어로 사용가능한 t2.micro를 선택해주자.
5) 기존에 만들어두어 선택할 수 있는 키페어가 없다면 새 키패어 생성버튼을 눌러 새로 만들어준다.
6) 해당 서버에 사용할 키페어를 만들어주자
헷갈리지 않게 작성했던 서버이름과 매칭시켜 생성해주었다.
위 그림과 같이 RSA와 .pem파일을 선택해준다.
생성하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되며, 해당 로컬 파일의 위치를 기억해두자.
Mac 환경의 경우 .pem 확장자를 다운로드 하면 .cer 확장자로 로컬에 저장된다.
반드시 생성했다면 다시 키페어 선택창으로 돌아와
키 페어 이름 - 필수를 선택해 생성한 키페어를 선택할 것!
6) 네트워크 설정
위 그림과 같이 세가지 체크항목에 모두 체크해줄것!
구축한 서버를 접속하는 컴퓨터가 정해져 있다면 위치 무관이
아닌 내 IP로 설정해주면 인스턴스 연결을 좀더 원활하게 해줄 수 있다.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 인스턴스를 만들어주자.
생성을 하게되면 위 그림과 같이 서버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렇게 구축한 인스턴스에 내 로컬 프로젝트를 붙이는 방법을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