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htop 확인

꼼댕이·2024년 6월 8일
0

python&linux

목록 보기
10/10

리눅스에서 htop을 통해서 메모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CPU 상태 

상단에 1~24 까지의 프로그래스가 각 CPU 코어를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각 Bar는 해당 코어의 사용된 % 를 표현합니다. 

각 core 마다 색이 들어간 파이프(|) 가 나타나는데요. 각 색이 의미하는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랑: low-priority 
  • 녹색: normal 
  • 빨강: kernel 
  • 하늘: virtualiz

시스템 전체 메모리 사용률 

CPU 밑에 Mem 과 Swp 으로 메모리와 스왑 사용량이 보입니다.  
메모리와 스왑은 전체 메모리의 사용된 메모리의 양을 표현합니다. 

각 색상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Memory 

  • 초록: 사용됨 
  • 파랑: 버퍼 
  • 노랑: 캐쉬

Swap 

  • 빨강: 사용됨

평균 부하율 (Load Average) 

메모리 우측에 Load Average가 보입니다. 크게 3의 형식으로 보여줍니다.

각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번째 필드: 1분 평균 수치 
  • 두번째 필드: 5분 평균 수치 
  • 세번째 필드: 15분 평균 수치각 필드의 최대치는 CPU 코어 갯수가 최대치입니다.

예를 들어, 싱글 코어라면, 1.0이 표현되면, CPU 전체 부하율이 100%라는 거죠. 다시 예를 들자면, 쿼드코어라면 4.0 이 100% 부하가 걸린 상태라는 겁니다.

이 때 최대치를 넘을 수 있는데, 이는 불특정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기 위해 대기 중이라는 뜻입니다.

프로세스 정보

상단에, CPU 코어와 메모리 상태 블록 밑에 프로세스 상태를 노출하는 블록이 바로 밑에 리스트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총 12개 필드로 프로세스의 상태를 알려주는데요

각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PID: 프로세스 식별자(ID) 
  • USER: 프로세스의 소유자 
  • PR: 프로세스의 우선 순위 
  • NI: 우선순위에 영향을 주는 프로세스의 nice 값 
  • VIRT: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가상 메모리 양 
  • RES: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물리 RAM 의 양 (단위: kb) 
  • SHR: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공유 메모리 양 
  • S: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 R: running 
    - S: sleeping 
    - T: traced / stopped 
    - Z: zombie 
    - D disk sleep 
  • %CPU: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사용한 시간의 백분률 
  • %MEM: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물리 RAM의 백분률 
  • TIME+: 프로세스가 Core를 사용한 시간 
  • COMMAND: 프로세스 시작에 사용한 명령

Note! nice 값은 프로세스마다 부여된 우선순위 값으로 써 -20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이며, +19는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표현합니다. 즉, 우선순위가 높을 수록 운영체제가 먼저 처리하죠.

참고

profile
사람을 연구하는 공돌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