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에 대해 알아보자

BE_{Potato.}·2022년 12월 21일
0

이번 시간에는 DNS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자.

DNS는 Domain Name Syetem의 약자로
웹사이트에 접속 할 때 우리는 IP 주소 대신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도메인 이름을 사용했을 때 입력한 도메인을 실제 네트워크상에서 사용하는 IP 주소로 바꾸고 해당 IP 주소로 접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세계적으로 약속된 규칙을 공유한다.
상위 기관에서 인증된 기관에게 도메인을 생성하거나 IP 주소로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DNS는 이처럼 상위 기관과 하위 기관과 같은 계층 구조를 가지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가진다.

< DNS 구성 요소 >

DNS는 아래 세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1.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Domain Name Space)
  2. 네임 서버(Name Server) = 권한 있는 DNS 서버
  3. 리졸버(Resolver) = 권한 없는 DNS 서버

우선 “이 도메인 이름은 이 IP 주소이다”라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그리고 분산된 데이터가 어디 저장되어 있는지 찾을 프로그램들이 필요하고 찾았으면 해당 IP 주소로 이동할 프로그램(브라우저 등)이 필요하다.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라는 규칙(방법)으로 도메인 이름 저장을 분산한다.
네임 서버가 해당 도메인 이름의 IP 주소를 찾는다.
리졸버가 DNS 클라이언트 요청을 네임 서버로 전달하고 찾은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어떤 네임 서버에서 찾아야하는지, 이미 캐시 되어있는지 등 어떻게든 찾아서 클라이언트에게 찾았으면 찾은 것을 못 찾았으면 못 찾았다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리졸버는 구현된 네임 서버의 IP 주소만을 파악한다.

profile
항상 '기본'을 중요시하는 예비 백엔드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