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 미션

Onew·2025년 9월 24일
0

js

목록 보기
9/24

연산자미션 링크

문제 1: "123" == 123 =?

정답은 true ✅ 입니다.

이유:

  • == (느슨한 비교)는 타입을 자동으로 변환한 뒤 비교함
  • "123" → 숫자 123 으로 변환
  • 123 == 123 → 같으므로 true

문제 2: "123" === 123 =

정답은 false ❌ 입니다.

이유:

  • ===엄격한 비교 → 타입까지 비교
  • "123" → 문자열, 123 → 숫자
  • 타입이 다르니까 무조건 false

문제 3: null == undefined =

정답은 true ✅ 입니다.

이유:

== (느슨한 비교)는 null과 undefined를 비교할 때 예외적으로 같다고 처리

다른 값으로 변환하지 않고 그냥 서로 같다고 판단함

문제 4: null === undefined =

false 입니다.

이유:

  • === (엄격 비교, strict equality) 연산자는 자료형까지 동일해야 true를 반환합니다.
  • nullobject 타입, undefinedundefined 타입이므로 자료형이 다릅니다.
  • 따라서 null === undefinedfalse가 됩니다.

문제 5: 0 == false =

0 == false의 정답은 ✅ true 입니다.

이유:

  • == (느슨한 비교)에서는 서로 다른 타입일 때 타입 변환을 수행합니다.
  • 여기서 0은 숫자, false는 불리언이므로, false가 숫자 0으로 변환됩니다.
  • 따라서 0 == 0이 되어 결과는 true가 됩니다.

문제 6: 0 === false =

0 === false의 정답은 ❌ false 입니다.

이유:

  • === (엄격 비교, strict equality) 연산자는 값과 자료형 모두 같아야 true를 반환합니다.
  • 0number 타입, falseboolean 타입이므로 자료형이 다릅니다.
  • 따라서 0 === falsefalse가 됩니다.

문제 7: "" || "값" =

"" || "값"의 정답은 ✅ "값" 입니다.

이유:

  • || (OR 연산자)는 왼쪽 값이 falsy면 오른쪽 값을 반환합니다.
  • "" (빈 문자열)은 falsy 값입니다.
  • 따라서 오른쪽 "값"이 반환됩니다.

즉, 결과는 "값"입니다.

문제 8: "" ?? "값" =

"" ?? "값"의 정답은 ✅ "" 입니다.

이유:

  • ?? (Nullish Coalescing 연산자)는 왼쪽 값이 null 또는 undefined일 때만 오른쪽 값을 반환합니다.
  • "" (빈 문자열)은 nullundefined도 아니므로 그대로 반환됩니다.

따라서 결과는 "" 입니다.

문제 9: 0 || 42 =

0 || 42의 정답은 ✅ 42 입니다.

이유:

  • || (OR 연산자)는 왼쪽 값이 falsy이면 오른쪽 값을 반환합니다.
  • 0은 falsy 값이므로, 오른쪽 값인 42가 반환됩니다.

결과는 42 입니다.

문제 10: 0 ?? 42 =

0 ?? 42의 정답은 ✅ 0 입니다.

이유:

  • ?? (Nullish Coalescing 연산자)는 왼쪽 값이 null 또는 undefined일 때만 오른쪽 값을 반환합니다.
  • 0nullundefined도 아니므로 그대로 반환됩니다.

결과는 0 입니다.

💡

연산자 설명

1. 동등 연산자(==)

  • 값만 비교하며, 타입이 다르면 자동으로 타입을 변환하여 비교
  • 느슨한 비교(loose equality)라고도 함
  • 예: "123" == 123 은 true (문자열이 숫자로 변환됨)

2. 일치 연산자(===)

  • 값과 타입을 모두 비교
  • 엄격한 비교(strict equality)라고도 함
  • 예: "123" === 123 은 false (타입이 다름)

3. OR 연산자(||)

  • 첫 번째 truthy 값을 반환
  • falsy 값들: "", 0, null, undefined, false, NaN
  • 예: "" || "값" 은 "값" (첫 번째가 falsy이므로 두 번째 반환)

4. Nullish 병합 연산자(??)

  • null 또는 undefined일 때만 대체 값을 사용
  • 빈 문자열이나 0도 유효한 값으로 취급
  • 예: 0 ?? 42 는 0 (0은 유효한 값이므로 그대로 반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