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문
if (조건문) {
행동
} else if (조건문) {
행동
} else {
행동
}if 안에 있는 조건문이 참인 경우 해당하는 if문 혹은 else if문을 실행 한다.else에 있는 코드가 실행 된다.else if에는 갯수 제한이 없다.switch문
switch (변수) {
case A :
행동
break;
case B :
행동
break;
case C :
행동
break;
default :
행동
break;
}case 뒤에는 해당하는 조건이 오며, 아래에 실행할 명령문을 적는다.default에 적힌 행동은 모든 case에 해당이 되지 않을 경우 실행 한다.삼항 연산자
평가할 조건 ? 표현식1 : 표현식2let score = 85;
let result;
if (score >= 80) {
result = "합격";
} else {
result = "불합격";
}
console.log(result);let result = score >= 80 ? "합격" : "불합격";
console.log(result); for문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복문으로 특정 조건이 거짓으로 판별 될 때까지 반복한다.
기본 구조
for (초기문; 조건문; 증감문) {
반복할 코드
}
초기문에는 초기 값이 될 변수를 선언한다.
조건문에는 반복할 조건을 적는다 true라면 코드가 실행 된다.
증감문에는 코드 실행 후, 초기문의 증감을 정한다 .
for (let i = 1; i <= 5; i++) {
console.log(`${i}번째 숫자`);
}
while문주어진 조건이 true일 때 코드를 반복한다.
기본 구조
초기문
while (조건문) {
코드;
증감문;
}
초기문에서는 카운터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 한다.
조건문에서는 조건식을 검사한다 true라면 코드가 실행된다.
증감문에서는 반복 횟수를 제어한다. (false로 만들어야 끝나기 때문)
let count = 5;
console.log("카운트다운 시작!");
while (count > 0) {
console.log(count);
count--;
}
console.log("발사!");
do while문while문처럼 조건이 true인 경우에만 코드를 반복한다.
기본 구조
초기문
do {
코드;
증감문;
}
while (조건);
while문과 다른 점은 실행될 코드가 앞에 있다.
조건문을 검사하기 전에 실행 코드를 실행 후에 검사를 한다. (false일 때도 한 번은 실행이 된다)
let num = 1;
do {
console.log(num++);
} while (num <= 5);
for in문객체의 열거 가능한 속성에 대해 반복한다.
기본 구조
for (변수 in 객체) {
코드
}
객체 관점에서 배열의 인덱스는 정수 이름을 가진 열거 가능한 속성이다.
반복자가 아닌 속성 열거를 사용하기 때문에 순서에 따라 반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인덱스의 순서가 중요한 배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let person = {
name: "홍길동",
age: 25,
job: "학생"
};
for (let key in person) {
console.log(key + ": " + person[key]);
}
for of문반복 가능한 객체에 대해 반복한다.
기본 구조
```jsx
for (변수 of 객체) {
코드
}
```
let fruits = ["사과", "바나나", "오렌지", "포도"];
for (let fruit of fruits) {
console.log(fru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