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군사 기술의 응용에서
1960s 미국 국방성이 중심이 되어 진행되고 있던 연구 개발
통신하는 도중에 네트워크의 일부가 적의 공격으로 파괴되더라도 우회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이 정지하지 않은 네트워크가 필요
- 분산형 네트워크의 경우 공격을 받더라도 우회로가 있는 한 통신을 계속할수 있음
- 패킷 통신의 필요성을 제창
- 패킷 통신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회선을 동시에 공유할수 있음
- 회선의 이용 효율이 향상 회선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

02 ARPANET의 탄생
1969년 패킷 교환 기술의 실용성 시험 네트워크 구축
- 미국 서해안의 대학과 연구 기관 중에서 4군데 노드를 연결
- UCLA(캘리포니아 대학 LA)
- UCSB(캘리포니아 대학 산타바바라)
- SRI(스탠포드 연구소)
- 유타 대학
이는 ARPANET(Ada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Network)이라고 하는 네트워크
- 인터넷의 기원
- 3년 동안 4개의 노드에서 34개의 노드를 연결하는 형태로 발전
- 패킷을 사용한 통신 방법의 실용성 증명
03 TCP/IP의 탄생
ARPANET에서 단순히 대학과 연구 기관을 연결하는 간선에서
패킷 교환을 이용하는 실험 뿐 아니라
이용자의 컴퓨터 사이에서도
신뢰성 높은 통신 수단을 제공하는 종합적인 통신 트포토콜 실험도 실시
- 1970년 전반 ARPANET 내 연구 그룹이 TCP/IP를 개발
- 1982년 TCP/IP의 사양 결정
- 1983년 ARPANET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프로토콜이 됨
04 UNIX의 보급과 인터넷의 확대
unix 내부에 TCP/IP가 내장되어 있는 상태로 보급됨
05 상용 인터넷 서비스의 개시
1990년대에 들어서 기업이나 일반 가정에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보급
-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라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