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마라톤

(SEB_FE_44) Pre-Project 회고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Pro-Project를 끝냈다. 도달할 수 있는 목표에 맞춰서 API명세서를 작성하고 작업을 하는데도 중간에는 '벅차다..', '쉬고싶다..'등 많은 생각을 했다. 그래도 이끌어주는 프론트엔드 팀원들과 든든하게 서버를 열고 테스트를 도와주는 백

2023년 6월 27일
·
0개의 댓글
·

(SEB_FE_44)CI/CD

배포 자동화란 한 번의 클릭 혹은 명령어 입력을 통해 전체 배포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하는 것을 뜻합니다. 배포 자동화가 왜 필요할까요?먼저 수동적이고 반복적인 배포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시간이 절약됩니다.휴먼 에러(Human Error)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2023년 6월 5일
·
0개의 댓글
·

(SEB_FE_44)TypeScript 2일차

Color라는 열거형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열거형의 값은 Red, Green, Blue역 매핑은 숫자형 열거형에만 존재하는 특징입니다. 열거형의 키(key)로 값(value)을 얻을 수 있고 값(value)으로 키(key)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위와 같이 열거형의 키로

2023년 5월 31일
·
0개의 댓글
·

(SEB_FE_44)TypeScript 1일차

typescript-eslint, Prettier 확장프로그램 설치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으로, JavaScript에서도 마찬가지로 boolean 값이라고 불리는 참(true), 거짓(false) 값을 의미.JavaScript와 마찬가지로 TypeScript 또한

2023년 5월 30일
·
0개의 댓글
·

React useEffect

너무 오래걸리는 함수의 경우 UI 렌더링을 블록킹 할 수 있다\-> useEffect는 렌더리잉 다 끝나고 읽기 시작하기 때문에 그런 문제를 보완해 줄 수 있다component 안에 바로 함수를 넣으면 리렌더링 될 때마다 매번 실행된다.debugging 용도로도 사용할

2023년 5월 7일
·
0개의 댓글
·

Rest API vs Restful API

Rest API vs Restful APIAPI는 웹 기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그래밍 지침 및 표준입니다.Rest API와 Restful API는 RESTful 웹 서비스를 구축하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이다. 이 블로그에서는 각 접근 방식

2023년 5월 1일
·
0개의 댓글
·

React props states

React 에서 한 Component 에서 다른 Component 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특수 객체가 props 이다.그러나 Props는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자식에서 부모로, 동일한 레벨의 Component로 Props를 전

2023년 4월 21일
·
0개의 댓글
·

[SEB_FE_44] 220306_sprint_Javascript_koans

지난주 금요일부터 주말 포함해 월요일 오전까지 Javascript의 sprint를 풀어봤는데, 처음엔 왜 이렇게 시간을 많이 주지 할 정도로 간단해 보였다. 하지만 4번째 scope부터 벽이 생겨 막혀버렸다. 유어클래스에 담긴 설명이 빈약하다고 느껴 생활코딩과 드림코딩

2023년 3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EB_FE_44] 220302_원시자료형&참조자료형

배열 내장 메서드인 slice()를 사용하면 원본 배열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spread syntax는 ES6에서 새롭게 추가된 문법으로, spread라는 단어의 뜻처럼 배열을 펼칠 수 있습니다. 펼치는 방법은 배열이 할당된 변수명 앞에 ... 을 붙여주면 됩니다. 배

2023년 3월 2일
·
0개의 댓글
·

[SEB_FE_44] 220213_병아리(3)

HTML에 이어 CSS의 개념을 배우고 자기소개서에 적용하는 실습을 했다. 내가 원하는 대로 표현해 주지 않는 페이지를 보면서 머리가 조금 어지러웠다. 다른 웹사이트의 요소를 뜯어보고 구글링을 해보며 이해되지 않는 부분도 많았던 것 같다. CSS를 적용하려고 나무를 보

2023년 2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EB_FE_44] 220213_병아리(2)

html의 기본 개념과 주요 태그 학습, 응용을 통한 실습으로 본격적인 웹개발 구조에 첫걸음을 내딛었다. 숲을 보자면 간단해보였고, 나무를 보자면 복잡해보였다. 그래도 주요 태그 안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는 명령어, 시멘틱 태그 등 각 요소들의 관계를 생각하고 공부하니

2023년 2월 14일
·
0개의 댓글
·

[SEB_FE_44] 220213_병아리(1)

"큰일 났다.."부트 캠프 첫 날, 오전 OT가 지나간 후 독백했다. 다른 동기들과 출발선에서 이미 차이가 나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해하지 못한 질문도 있었고 내가 아는 정보보다 더 높은 수준의 질문도 많았다. 예상한 일이지만 직접 마주치니 그 벽이 더 크게 느껴

2023년 2월 13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