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Study] 기능개발

Dae-Hee·2021년 1월 5일
1

Algorithm Study

목록 보기
1/6
post-thumbnail

프로그래머스 LEVEL2 - 기능개발(JavaScript)

👉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 사전 구상

각각 남은 진도를 구한다.
구한 잔여 진도를 배열에 삽입한다.
해당 배열을 비교하여 결과를 카운트한다.

👉 초기 풀이

function solution(progresses, speeds) {
    // 남은 작업을 넣을 배열
    var temp   = [];
    // 결과를 넣을 배열
    var answer = [];
    // 남은 작업 구하기
    for(var i=0; i<progresses.length; i++) {
        var num = 100 - progresses[i];
        var result = parseInt(num/speeds[i]);
        temp.push(result);
    }
    // 비교하여 같은 수 만들기
    for(var i=0; i<temp.length; i++) {
        var len = temp.length;
        var tem_src = temp[i];
        var tem_trg = temp[i+1];
        if(len >= i+1){
           if(tem_src > tem_trg){
               temp[i+1] = tem_src;
           }
        }
    }
    // 결과 비교 후 카운트
    var reCnt = 1;
    for(var i=0; i<temp.length; i++) {
        var len = temp.length;
        var tem_src = temp[i];
        var tem_trg = temp[i+1];
        if(len >= i+1){
           if(tem_src == tem_trg){
               reCnt++;
           }else{
               answer.push(reCnt);
               reCnt = 1;
           }
        } 
    }
    return answer;
}

👉 결과 및 보완

11개의 테스트 중 10개를 통과
원인 분석중 업무를 처리할때 그날 처리하지 못했다면 다음날 이어서 해야한다는 것이 떠올랐고 이를 적용하기위해서는...
100 - 진행업무 = 잔여업무
잔여업무 / 하루일처리 = 필요 일 수
올림(필요 일 수) = 최종 필요일수

// 나머지가 있다면 올림처리
if(num % speeds[i] != 0) {
    result += 1;
}

위 코드가 추가 되었어야 한다.
수정 후 결과는 모두 통과
또한 코드를 리뷰하고 간결하게 만드는 작업중
'// 비교하여 같은 수 만들기' 로직이 불필요하여 제외하고 수정하였다.

👉 최종 풀이

function solution(progresses, speeds) {
    // 남은 작업을 넣을 배열
    var temp   = [];
    // 결과를 넣을 배열
    var answer = [];
    // 결과 배열에 넣을 카운트
    var reCnt  = 1;
  
    // 남은 작업 구하기
    for(var i=0; i<progresses.length; i++) {
        var num = 100 - progresses[i];
        var result = parseInt(num/speeds[i]);
        // 올림 처리
        if(num % speeds[i] != 0) {
            result += 1;
        }
        temp.push(result);
    }
    // 결과 비교 후 카운트
    for(var i=0; i<temp.length; i++) {
        var len     = temp.length;
        var tem_src = temp[i];
        var tem_trg = temp[i+1];
        
        if(len >= i+1){
           if(tem_src >= tem_trg){
               temp[i+1] = temp[i];
               reCnt++;
           }else{
               answer.push(reCnt);
               reCnt = 1;
           }
        }
    }
    return answer;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