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와 운영체제 책과 강의 (링크)를 정리한 글입니다.
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공부하기위한 기록입니다.
컴퓨터 구조를 아는 개발자가 되어야 하는 이유 -> 구조를 알아야지만 문재 해결 능력의 향상(간혹 코드문제가 아닌 컴퓨터 구조로 생기는 문제) 및 성능/용량/비용을 고려한 개발 가능
1.컴퓨터를 관조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발자
2. 성능, 용량, 비용에 대한 개념 이해
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정보
컴퓨터를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정보
1 과 2를 더하라
1,2 = 데이터
더하라 = 명령어
기계어는 2진수 -> 이를 사람이 읽기 쉽게 변한환게 어셈블리언어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장치(MEMORY),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작동 예시
↓
↓
↓
↓
메모리는 비싸고 저장용량이 작고, 휘발성이기때문에.. -> 저장용량이 크고 비휘발성 저장장치!
SSD, USB, 하드디스크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메인보드에 연결된 부품은 버스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다.
즉, 시스템 버스는 부품끼리 정보를 주고받는 일종의 통로
메모리 읽기
메모리쓰기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는 데이터와 명령어!
메모리는 현재 실행되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한느 부품!
보조기억 장치는 전원이 꺼져도 보관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부품!
입출력장치는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볼르 교환할 수 있는 부품!
시스템 버스는 컴퓨터의 네가지 핵심부품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통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