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로그 100일 완성 IT지식 log(53~56)

Jobmania·2022년 8월 16일
0

1일 1로그 IT지식

목록 보기
14/16

네트워크 기술.

대역폭 : 네트워크가 얼마나 데이터를 빨리 전송할 수 있는가를 의미.

대역폭은 결국 단위 시간 내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예시) 두께가 큰 파이프일수록 당근 많은 물을 전달할 수 있다! (대역폭)

단위 시간 내 네트워크를 통해 보내야 할 데이터가 많다면 대역폭을 그만큼 많이 확보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무한정 크게만 잡을 수 없는 것이 비용(cost)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이죠. 따라서 기업은 적합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네트워크 출력(Throughput)

네트워크 출력(혹은 출력률, 쓰루 풋)이란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단위 시간 내 목적지에 전달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지표

예를 들어 100bytes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1초가 걸렸다면, 이 시스템의 네트워크 출력은 800bps입니다.
-> 100 bytes/second = 100 * 8 bits/second = 800 bps(bits per second)

네트워크 출력과 네트워크 대역폭의 상관관계

단위 시간 내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기 위한 출력도 높이고, 이를 받아서 전달하는 파이브 역할을 하는 대역폭도 커야 합니다.

IT 시스템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달하는 데이터의 양이 작아질 수도, 커질 수도 있습니다. 동일한 사용자의 요청이 지속된다고 하더라도, 예상하지 못한 변화가 잦은 이유는 특히 외부 인터넷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상의 변수가 많기 때문이죠. 대표적인 변화의 요인을 꼽으면 이렇습니다

  • 네트워크 지연(network latency): 예상하지 못한 시간(time)이 데이터 전달에 소요되는 현상.

  • 네트워크 혼잡(network congestion): 전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네트워크에 몰리는 현상.

  • 패킷 손실(packet loss): 예상하지 못한 패킷(packet)이 전달하는 동안 손실되는 현상.

https://blog.naver.com/sehyunfa/221719292177

지연

  • 전송 지연 : 네트워크장비의 전송속도
  • 전파 지연 : 전파지연 =거리/전파속도, 신호의 전송거리와 전송 매게체로 결정,
  • 처리 지연 : 노드에서 SW 데이터 처리할때 걸리는 시간. CPU와 관련
  • 큐 지연 :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하여 라우터의 출력포트에서 대기하는 시간

전체 지연은 모든 값을 더한 값.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dnjsjd11&logNo=220725869665
출처 : https://corona-world.tistory.com/47

지터

지터는 핑, 패킷 손실과 더불어 연결 품질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세 가지 핵심 지표 중 하나이다.

지터 는 IP 패킷의 지연 사이의 차이입니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를 통해 변동량 지연이 발생하면 지터가 발생합니다.

0 > 10
1 > 11
2 > 12
3 > 13

예를 들어 4 개의 패킷이 시간 0, 1, 2, 3에서 전송되고 10, 11, 12, 13에서 수신되었다고 가정하면 패킷 사이의 지연은 10 단위 인 모든 패킷에서 동일합니다.

1 > 11
2 > 12
3 > 9
4 > 15

다른 경우에, 이들 패킷이 11, 13, 11, 및 18에 도달하면, 생성 된 지연은 상기의 경우와 다른 11, 12, 9, 15이다.

첫 번째 형태의 지연은 모든 패킷이 동일한 지연을 가지므로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두 번째 경우에는 패킷에 대한 다른 지연이 허용되지 않으며 패킷의 순서가 잘못된 결과가 도출됩니다. 높은 지터는 딜레이 간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낮은 지터는 그 변화가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ttps://ko.gadget-info.com/difference-between-jitter


모뎀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은 정보 전달(주로 디지털 정보)을 위해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기 위해 복조하는 장치

전화 모뎀

초기 모뎀은 주로 전화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였으며 개인이 사용하는 인터넷망이 활성화되기 이전에 개인이 통신망에 접속하는 것이 비용측면에서 쉽지 않았기 때문에 전화망을 통해 개인컴퓨터와 서버와의 통신을 하게 되었다.

전화망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주파수가 제한된다. 따라서 전송 속도에서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최대 56Kbps)

케이블 모뎀

케이블TV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장치

  • 사용자끼리 대역폭을 공유
  • 초기에는 단방향이였으며 이후 양방향(업로드속도 < 다운로드속도)

DSL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xDSL은 지역 전화망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기술의 계열이다

  • DSL은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며, 일반 전화는 낮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 사용자와 대역폭 공유 X, 집과 전화선의 전용선을 사용하기때문

광케이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광섬유로 만든 케이블이다. 레이저를 이용해서 통신하기 때문에 구리선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장거리 & 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현재 인터페이스는 광 케이블당 100Gbps 를 전송한다.


이더넷

단일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어있는 모든 컴퓨터에 신호를 전달받는 방식.
사무실, 학교, PC방 등의 LAN(근거리 통신망) 환경에서 거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네트워크(데이터 통신) 구성 방식. 1980년에 상용화 되었으니 꽤 오래된 방식이나 현재도 건재하게 버티고 있다. 유선 인터넷이 된다면 이더넷을 쓰는 환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신호는 전압 펄스로, 그 세기나 극성으로 비트값을 인코딩.
EX) 비트값 1은 양의 전압, 0은 음의 전압

각 컴퓨터는 고유한 식별 번호가 있는 장치로 이더넷에 연결,
모든 이더넷 장치에는 48비트 길이의 고유의 MAC 주소를 가지고 이 주소를 이용해 상호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이를 이더넷 주소라고 함.

동작절차

  • 네트워크를 사용하려는 컴퓨터는 먼저 현재 네트워크 위에 흐르고 있는 데이터가 있는지를 감지한다.
  • 만약 현재 다른 데이터가 전송 중이면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고 아니면 전송을 시작한다.
  • 여러 군데에서 동시에 전송을 시작해 충돌이 발생하면 최소 패킷 시간 동안 전송을 계속해, 다른 컴퓨터가 충돌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한다.
  • 그 뒤, 임의 시간 동안 기다린 뒤에 다시 신호(반송파)를 감지하고, 네트워크 사용자가 없으면 전송을 다시 시작한다.
  • 전송을 마치면, 상위 계층에 전송이 끝났음을 알리고 끝마치며 여러 번 다시 시도했음에도 전송에 실패하면 이를 상위 계층에 알리고 끝마친다.

패킷

정보를 담고 있는 일련의 비트 또는 바이트.

  • Ethernet header : 14
    • Preamble(프리앰블) : 동기화에 사용되는 64비트 필드로서 0과 1로 구성되고, 네트워크 장치가 패킷을 받아서 이더넷 프레임의 시작 부분을 결정하고 동기화할 때 사용
    • 목적지 MAC 주소 : 6 / DA(Destination Address)
    • 출발지 MAC 주소 : 6 / SA(Source Address):
    • 타입 : 2 (0x0800=이더넷 / 이더넷 프레임 상단의 데이터의 종류
    • 데이터 : 46~1500 (IP Header + TCP 헤더 + TCP 데이터 )
    • Checksum(FCS) : 4 / 에러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필드로, 수신측이나 송신측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프레임에 포함되는 내용을 계산한 값. 값이 다르면 해당 프레임은무시됨.
profile
HelloWorld에서 RealWorld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