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계층 채널]
- 브로드캐스트 채널
- 무선 랜, 위성 네트워크, HFC 접속 네트워크
- 다수의 호스트가 연결
- 매체 접속 프로토콜 : 프레임 전송 조정
- 중앙 컨트롤러 : 전송 조정- 점대점 통신 링크
- 원거리 링크에 의해 연결된 두 라우터 등에 사용
- 접근제어 간편
- PPP : 전화선을 이용한 다이얼업 서비스부터 광 링크상에서의 고속 점대점 프레임 전송에 모두 사용
[인터페이스 커뮤니케이팅]
- 송신 측
- 데이터그램 프레임화
- 에러 체크 비트, 신뢰적 데이터 전송, 프로우 컨트롤 등 추가 가능- 수신 측
- 에러, 신뢰적 데이터 전송, 프로우 컨트롤 등 확인 가능
- 데이터그램 추출, 윗계층으로 전송
[MAC 프로토콜 분류]
- 채널 분할 프로토콜
- 시간, 주파수 등의 더 작은 조각으로 분할
- 높은 부하 : 효율적, 공정하게 채널 공유
- 낮은 부하 : 비효율적, 채널 엑세스 지연, 활성 노드가 하나만 있어서 1/N 대역폭 할당- 랜덤 접속 프로토콜
- 분할X, 충돌 허용
- 충돌로부터 회복
- 높은 부하 : 비효율적, 충돌 오버헤드
- 낮은 부하 : 효율적, 단일 노드가 채널을 최대한으로 활용 가능- 순번 프로토콜
- 높은 부하, 낮은 부하 둘 다 효율적
[Pure ALOHA]
- 최초의 무선 패킷 통신망
- unslotted Aloha : 더 간단,
- 회선 이용률 비효율적
[Slotted ALOHA]
- 가정
- 모든 프레임은 동일한 사이즈
- 동일한 사이즈의 slot으로 시간 분할
- 슬롯이 시작하는 곳에서만 노드 전송 시작
- 노드 동기화- 충돌
- 충돌 발생X : 다음 슬롯에 보낼 새로운 프레임 전송
- 충돌 발생O : 재전송- 분산된 형태 : 자율적으로 전송 가능, 슬롯의 시작만 맞춤
- 단점
- 충돌 발생시 슬롯 낭비
- 비어있는 슬롯 존재
- sync가 없는게 좋은데 sync 있음.
- 비효율적!
[CSMA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전송하기 전에 확인
- 누가 먼저 쓰고 있으면 holding- Propagation delay 문제
- 확인해서 없어서 보내기 시작했는데 그 사이에 충돌이 남
- 전체 패킷 전송 시간 낭비
- 비효율적
[CSMA/CD : Collsion Detection]
- 충돌이 발생했 때 전송을 멈춤
- 회선 빠르게 정리
- 충돌 시 낭비되는 채널 줄어듬.- 충돌 감지 문제
- 무선에서는 사용X, 충돌 감지해도 못 들음
- 유선에서는 쉽게 사용- binary backoff?
- 성능
- ALOHA보다 성능 good
- CSMA/CA
- CSMA/CD : 이더넷에서 사용
- CSMA/CA : 802.11 무선 랜에서 사용
[폴링 polling 프로토콜]
- 노드 중 하나를 마스터 노드로 지정
- 마스터 노드는 각 노드를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폴링
- 각 노드가 최대로 보낼 수 있는 프레임 수에 대한 정보를 지닌 메시지를 전송- 빈 슬롯 제거
- 랜덤 접속 프로토콜의 단점 극복
- 높은 효율- 단점
- 폴링 지연 (노드가 전송할 수 있음을 알리는 데 걸리는 시간)
- 마스터 노드 고장 시 전체 채널 동작 불가
[토큰 전달 token passing 프로토콜]
- 토큰 : 작은 특수목적 프레임이 정해진 순서대로 노드 간 전달
- 노드가 전송할 프레임이 있을 경우 토큰을 붙잡음.
- 그렇지 않으면 즉시 다음 노드로 토큰 전달- 분산 방식 -> 효율적
- 단점
- 노드 하나가 실패하면 전체 채널이 동작X
- 노드가 잘못해서 토큰을 놓아주지 않으면 토큰이 다시 돌 수 있도록 회복 절차 필요
[MAC 주소]
- 다른 말로 LAN 주소, 물리 주소라고도 함
- 한 인터페이스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다른 인터페이스로 프레임을 가져오기 위해 '로컬'로 사용됨.
- 동일한 서브넷, IP 주소 지정 방식- NIC ROM에 기록된 48비트 MAC주소
- 때때로 소프트웨어 설정 가능
- ex. 1A-2F-BB-76-09-AD- LAN의 모든 인터페이스에 MAC주소 + IP주소 할당 필요
- MAC 주소 : 주민등록번호
- IP 주소 : 집 주소- IEEE가 MAC 주소 공간을 관리
- 어떤 어댑터도 동일한 주소를 갖지 않는다.- 플랫한 주소 : 휴대성
- 한 LAN에서 다른 LAN으로 인터페이스 이동 가능
- IP주소는 휴대성X : 노드가 연결된 IP 서브넷에 따라 상이
[ARP]
- ARP 테이블
- 모든 호스트, 라우터가 각각 가지고 있음
- IP/MAC 주소를 LAN 노드에 매핑
- TTL : MAC 주소 사용 가능한 시간- 랜 내에서의 라우팅 과정 : A에서 B로 데이터그램 전송
- B의 IP주소를 포함한 ARP 쿼리 전송
- MAC 주소는 1로 채워넣음
- 모든 노드가 ARP 쿼리 수신
- B가 MAC 주소에 자신의 맥주소를 담아서 ARP 응답을 전송
- 응답을 받은 A는 자신의 ARP 테이블에 정보를 저장- 랜 밖 다른 서브넷으로의 라우팅 과정
- A는 DHCP 할 때 first-hop 라우터 받아서 라우터 IP주소 알고 있음
- 데이터그램을 라우터 인터페이스 111.111.111.110으로 전달
- 라우터의 어댑터는 링크 계층 프레임이 자신을 목적지로 하는지 검사한 후, 프레임을 라우터의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
- 데이터그램이 전달될 정확한 인터페이스 결정 (포워딩 테이블)
- 라우터는 222.222.222.220 라우터 인터페이스를 거쳐 전달하도록 지시
- 인터페이스는 데이터그램을 자신의 어댑터로 전달
- 어댑터는 데이터그램을 새 프레임에 캡슐화하여 서브넷2로 전송
-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는 실제 최종 목적지의 MAC 주소가 된다.
[물리적 topology]
- bus
- 90년대 중반 많이 사용
- 모든 노드가 같은 충돌 도메인 내에 있음
- 서로서로 충돌 가능성
- 동축 케이블- switched
- 오늘날 사용
- 2계층 스위치를 센터에
- 이더넷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
- 서로 충돌 X
[이더넷 프레임 구조]
- 프리앰블
- 수신자와 송신자 간의 동기화
- 8byte
- 첫 7바이트 = 10101010 : 수신 어댑터 깨우고 수신자의 클록을 송신자의 클록과 동기화
- 마지막 바이트 = 10101011 : 마지막 두 비트는 어댑터로 하여금 중요한 것이 오고 있음을 알려줌.- 목적지 주소
- 6byte
- 목적지 어댑터의 MAC 주소- 출발지 주소
- 6byte
- 프레임을 랜으로 전송하는 어댑터의 MAC 주소- 타입
- 2byte
-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다중화 허용
- 상위 계층 프로토콜 표시 (대부분은 IP)
- 수신기에서 역다중화하는 데에 사용- 데이터
- IP 데이터그램 운반
- 최대 1500byte, 최소 46byte- CRC
- 4byte
- 순환 중복 검사
- 수신 어댑터로 하여금 프레임에 오류가 생겼는지 검출
- 에러 감지 -> 버리기
[이더넷 특징]
- 비연결형 서비스 : handshaking(X)
- 비신뢰적인 서비스 : 오류 검출은 하지만 정정은X
- 이더넷의 MAC 프로토콜 : unslotted CSMA/CD
[802.3 이더넷 표준 : 링크와 물리 계층]
- 많은 다양한 속도의 이더넷 표준이 존재
- MAC 프로토콜과 프레임 형식은 동일
- 다양한 물리적 계층 매체 : 구리선, 케이블
[스위치 테이블]
- 스위치 테이블 엔트리
- 호스트의 MAC 주소
- 그 MAC 주소로 가게 하는 스위치 인터페이스
- 해당 엔트리가 테이블에 만들어진 시점- 라우터의 포워딩 테이블과 비슷
[스위치의 자가학습]
- 호스트가 어떤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지 학습
- 인터페이스로 수신한 각 프레임에 대해 다음의 정보를 저장
- 프레임의 출발지 주소 필드에 있는 MAC 주소
- 프레임이 도착한 인터페이스
- 현재 시간- TTL :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스위치가 해당 주소를 출발지 주소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면 테이블에서 이 주소를 삭제
- 목적지 주소가 테이블에 없으면 들어온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인터페이스에 flooding
- 프레임이 도착한 세그먼트의 목적지이면 프레임 버림.
[상호연결된 스위치]
- s1, s2, s3, s4 스위치 테이블이 채워지는 과정
[스위치와 라우터]
- 둘 다 저장하고 포워드하는 기능
- 라우터
- 네트워크 계층 장치
- 포워딩 테이블 계산 : 설정된 알고리즘 이용
- IP주소- 스위치
- 링크 계층 장치
- 스위칭 테이블 계산 : 자가학습
- MAC 주소
[스위치 계층구조의 단점]
- 트래픽 격리의 부족
- 그룹 트래픽을 단일 스위치 내로 격리해주지만,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은 여전히 전체 네트워크로 전달되어야만 한다.
- 랜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제한 필요- 스위치의 비효율적인 사용
- 스위치 하나로는 트래픽 격리 불가- 사용자 관리
- 한 노드가 다른 그룹으로 이동하는 경우 다른 스위치에 연결하기 위해 물리적 케이블 연결을 변경해야함.
- 복잡
-> 이러한 단점을 VLAN을 지원하는 스위치를 사용해 해결 가능
[포트 기반 VLAN]
- 논리적인 망 분리
- 하나의 물리적 근거리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상에서 여러 개의 가상 근거 네트워크 정의 가능
- 소프트웨어적 설정
- 한 VLAN의 포트들은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형성- 트래픽 격리
- 동적 구성원
- 포트들은 VLAN 사이에서 동적으로 할당 가능- VLAN 간 포워딩
- 라우팅을 통해 포워딩
- 별도의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 서로 다른 서브넷으로 간주
- 내에 라우터 기능이 존재
[VLAN 트렁킹]
- 빨간영역, 파란영역 각각을 하나의 논리적인 영역으로 간주
- 트렁크 포트
- 여러 물리적 스위치에 대해 정의된 VLAN 간에 프레임을 전달
- 일반적인 프레임 사용 불가 (802.1 프레임X)
- 자신의 VLAN을 식별할 수 있는 format이 필요- 802.1Q VLAn 프레임 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