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이넘에 완벽이 뭐길래 한번 TIL를 적기 시작하면 한시간이상은 걸려서 미천한 실력에 밤을 새가면서 머리를 굴리느라 TIL까지 쓸 여유를 낼 수 없었다...
여튼 오지 않을거 같은 마지막이 왔고
그 동안 나는 refreshToken과 accessToken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다
2월에 공식 프로젝트가 아닌 세미 프로젝트(캠프 동기와 둘이서만 진행한)를 진행하면서 자신감이 많이 붙었고 그 놈에 자신감으로 안 해본 로그인 부분을 맡겠다고 손을 번쩍 들었다:)
토큰 재생성api를 연결 시켜줬는데 뭔가 꼬여서 한번 만료되면 재생성이 되지 않았다 심지어 미들웨어에 대한 개념도 부족해서 완전 순서가 뒤죽박죽..
사실 강의에선 미들웨어에서 재생성해버려서 20분짜리강의대로 따라 하려 했는데
미들웨어에 대한 개념이 부족해서 튜터님들을 찾아가니 원래 그건 프론트에서 하는거에요 라는 튜터님들의 말씀...어쩐지 구글링하면 리엑트 쪽 정보들이 많이 나온다 했다... 그래서 다시 바꾸고 프론트에서 하려고 했는데 쉽지가 않았다 리엑트는 몇줄만 적으면 끝나는 걸 ejs를 사용하다 보니... 난 백엔드 개발잔데 이게 맞나 싶어서 다시 미들웨어에서 재생성하는걸로 바꿨고 오류를 해결하긴했다...
1주차는 토큰에 대해서 공부하며 해매다가
2주차 때는 공부한걸 적용시키긴 했는데 순서가 뒤죽박죽
3주차에는 사실 나는 잘 되는데 남이 하면 안되는 문제가 생겨서 그거 찾아본다고..
4주차가 되서 그냥 만료 직전에 다시 재발급 시켜버리다가 또 남이 하면 안되는 문제가 생겨서 그거 찾아보고 결국엔 미들웨어로 재발급을 옮겨버리는...
저 시간 사이사이 백엔드 crud도 작성하고 백엔드 crud 오류잡는데 일주일도 안 걸렸는데 이 놈에 토큰...때무네 시간을 다 썼다
그리고 생각보다 구글링 블로그에 잘못 된 정보들이 많았다
그 중 하나가 분명 accessToken과 refreshToken를 발급할 때 refreshToken에는 user정보를 넣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 있길래 따라 했는데 나중에는 refreshToken에 user정보가 없어서 문제가 생겼다ㅋㅋㅋ큐
새로운 sequelize의 기능을 알게되었다 이건 기록하고 넘어가고 싶다
라이브러리 moment를 설치해서 현재 월의 데이터만 추출해주는 역할을 하는 문법이다
where: {
startDate: {
[Op.gte]: moment().startOf('month').toDate(),
Op.lte]: moment().endOf('month').toDate(),
},
},
📌 프로젝트 후 계획